•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호르몬 내성증후군 3 2020-10-13

https://blog.naver.com/gogngs/222114427350

 

 

치료

대부분의 환자는 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여 갑상서호르몬에 대한 말초조직의 내성을 보상하므로 정상 갑상선기능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치료가 필요 없다.

갑상선종도 대부분 중등도 정도로 커지므로 실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하는데 ,

갑상선호르몬의 조직에 대한 작용 표지자들 ( 성호르몬결합단백, 콜레스테롤, ferritin, 골밀도 등 ) 을 측정하면서 세밀한 조절이 필요하다.

주의력-결핍성 과운동성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T3 를 투여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갑상선호르몬 내성증후군 환자 중 갑상선중독증의 임상증상을 호소하는 경우의 치료는 어려운 문제이다.

증상 자체가 비특이적이므로 이러한 증상이 갑상선호르몬의 과다에 의한 것인지 감별이 어렵다.

따라서 일차적 접근으로는 먼저 대증요법이 타당하다.

심계항진은 베타-차단제 중 atenolol 이 효과적이다.

L-티록신은 TSH는 억제시키지만 , 갑상선 중독증상을 악화시키므로 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

L-티록신 유도체인 D-티록신과 triiodothyroacetic acid 는 말초조직에 대한 효과보다 뇌하수체에 대한 효과가 더 강하므로 치료 효과가 좋다.

갑상선자체에 대한 치료로서 항갑상선제 , 수술 , 방사성요오드요법 등은 갑상선호르몬을 낮추고 갑상선중독증을 제거시킬수는 있지만 대신 TSH 분비가 자극되어 뇌하수체 비후내지 종양 형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을 경우에는 방사성요오드로 갑상선을 파괴시키는 것이 적절한 치료법일수 있다.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한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관찰하여 갑상선호르몬이 정상의 상산에 있도록 L-티록신을 투여하고 뇌하수체의 크기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