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태아 갑상선기능 2 2020-11-03

https://blog.naver.com/gogngs/222134231820

 

 

4. 모체 - 태반 - 태아의 상호작용

모체의 여러 물질들이 태아 갑상선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이 물질들의 태반 통과 여부에 달려 있다.

태반 통과 물질

태반을 잘 통과하는 물질

약간 통과하는 물질

통과 못하는 물질

요오드

T4

TSH

항갑상선제 : 메치마졸, PTU

T3

Tg

베타-차단제

IgG: TPO 항체, Tg항체, TSAb

TRH

모체의 TPO 항체와 Tg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나 태아 갑상선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다

TSAb 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갑상선을 자극하고 , 그 결과 갑상선종과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유발한다.

TBAb  역시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서 일과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을 유발한다.

요오드 , 항갑상선제 , 프로프라놀롤 등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갑상선기능에 장애를 초래한다.

산모에 투여한 요오드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갑상선종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유발한다.

메치마졸과 PTU도 다량 투여하면 태아에서 갑상선종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유발 할 수 있다.

5. 출생 후 갑상선기능 변화

출생 직후 혈청 TSH 는 급격히 증가한다.

추위에 노출되면서 시상하부에서 TRH가 방출 되기 때문이다.

혈청  TSH 는 출생 후 30 분 이내에 최고치에 도달하고 , 이후 처음 24시간에 급격히 감소하며, 다음 2일 동안에 서서히 감소하여 정상으로 환원된다.

혈청 T4는 출생 후 점차 증가하여 24~36 시간에 최고에 도달하고 , 이어서 1 주일에 걸쳐 서서히 감소하여 출생 1달 경에는 성인 수준으로 돌아온다.

혈청 T3 는 출생 직후 4시간 이내에 3~4 배 증가하는데  이는 출생 직후의 TSH 증가에 기인하며 , 이후 6~36 시간 사이에 계속 증가하는데 이는 증가한  T4 로 부터 전환된 결과이다.

T3/T4 비는 증가하는데 이는 갑상선에서 T3 생산이 증가하고 말초조직에서 T4 로부터 T3 로의 전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출생 전에 증가하였던 rT3는 출생 후 감소하여 출생 4~6 주경에는 성인 수준으로 감소한다.

미숙아의 출생 후 갑상선기능은 질적으로는 정상이지만 양적인 면에서 정상아보다 호르몬 농도가 낮다.

즉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의 미성숙의 결과로 일종의 시상하부성 갑상선기능저하증 상태가 4~8주 정도 지속되는데 일과성 현상이므로 T4 치료는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