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의 치료 2020-07-24

https://blog.naver.com/gogngs/222040285928

 

 

1)  국소 전이 환자의 치료

경부에 국한된 지속적 병변과 재발 병소는 생명과 관련된 주요 조직을 보존하면서 침범된 동측 또는 중앙 구획의 림프절을 완전 제거해야 한다.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림프절이 만져지면 수술로 제거해야 한다.

수술과 병용해서  I-131 치료를 할 수 있다.

수술로 완전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 만약 종양의 방사능섭취가 없으면 외부 방사선조사가 필요하다.

병변을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주파 치료 또는 알코올 주입 등의 방법으로 수술을 대신할 수 있다.

2) 호흡기 - 소화관 침입 환자의 수술 요법

상부 호흡- 소화관을 침범한 암의 경우  I-131 이나 외부 방사선조사와 같은 보조 치료를 겸한 수술요법이 추천된다.

치료 결과는 기능을  유지시키면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모든 병변을 완전하게 저게시키는자에 달려있다.

예를 들면 표재성 침입인 경우에는 기관이나 식도의 표면을 벗기는 수술로부터 기도가 보다 더 깊게 침범된 경우에는 기관절개 및 문합술이나 식도인두 절제술을 들 수 있다.

완전 치유가 어려운 경우에는 덜 공격적인 국소 치료가 필요하다.

기관절개나 스텐트 삽입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질식의 위험이나 객혈이 심한 경우에는 레이저 치료가 적응되며 , 이는 다음에 시행할 근치요법이나 고식적 치료법의 전단계 방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3) 폐전이의 치료

폐전이 환자의 치료에서 치료 결정의 주 인자로는 전이 병변의 크기 , 방사성요오드에 대한 친화력과 과거에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대한 반응 , 전이 병변의 안정성 이다.

폐 섬유화는 다량의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드문 합병증이다. 만약 의심되면 정기적으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면서 호흡기전문의에 의뢰한다.  폐 섬유화가 있으면 더 이상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못한다.

폐의 미소결절형 전이는 방사성 요오드로 치료한다. 치료에 반응하는 한 6~12 개월 간격으로 시행한다.

방사성요오드 친화성 거대결절형 폐전이는 방사성요오드로 치료한다. 치료효과가 확인되면 치료를 반복한다.

그러나 완전 관해는 흔하지 않고 생존율은 불량하다.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지 않는 폐전이 병변은 서서히 진행하므로  TSH  억제요법 등 보존적 치료만 시행하면서 경과 관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선택된 환자에서는 다른 치료법이 선택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이 병소를 절제 , 증상이 있는 흉곽 안 병변에 대한 기관지내 레이저 제거 또는 방사선조사 및 삼출액에 대한 흉막 및 심낭 유출 등이다.

폐전이의 I-131 치료 반응은 병변의 크기 , 병변의 요오드 농축 능력 , 연령에 따라 좌우 된다.

연령이 낮고 , I-131 섭취능이 있으며, 흉부 X-선 소견이 음성일수록 완치율이 높다.

4) 골전이의 치료

골전이의 치료는 골절에 대한 위험 , 척추 병변으로부터 야기되는 신경 손상의 위험, 동통 여부, 방사성요오드 친화력, 방사성요오드 치료 때 노출되는 골수의 방사능 위험 등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증상을 수반하는 단일 골 전이는 수술로 완전 제거하면 생존율을 높이므로 45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요오드-친화성 골 전이는 방사성요오드 치료로 생존율이 높아지므로 치료를 권한다.

골전이는 I-131치료에 대한 반응이 상대적으로 불량하다.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동통성 병변은 방사성요오드 , 외부방사선조사, 동맥색전술, 고주파 열치료, 주기적으로 pamidronate 또는  zoledronate 주입으로 치료한다.

5) 뇌전이의 치료

중추신경계 전이 병변은 방사성요오드 친화력 유무에 무관하게 수술로 완전 제거가 필요한데 생존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수술활 수 없는 중추신경계 병변에 대해서는 외부방사선조사를 고려한다.

병변에 국한되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주위 뇌 조직의 방사능 노출을 제한할 수 있다.

만약 전이가 다발성이면 뇌 전체와 척추에 대한 방사선조사를 고려한다.

만약 뇌 병변이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면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고려한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