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암 치료후 장기 추적 관리 1 2020-07-14

https://blog.naver.com/gogngs/222030616114

 

 

갑상선 분화암은 예후가 양호하여 일차 치료후 수년 혹은 수십 년 동안 생존하며, 그 경과중 언제라도 재발이 가능하므로 장기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환자의 장기간 관리의 주목표는 질병이 없다고 생각되는 환자에서 재발 가능성을 정확하게 조사하는 것이다.

음성 예측율이 높은 검사는 재발 가능성이 낮은 환자들을 쉽게 식별하여 덜 공격적인 치료 전략을 사용하므로 비용 - 효과면에서 유리하다.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보다 더 공격적인 관리를 통해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여 효과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한다.

재발 하였거나 질병이 지속적인 환자에게는 완치를 위한 치료법 제공 또는 사망을 늦추는 치료법을 제공한다.

어떤 특정한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보존적인 치료로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종양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분화된 갑상선암의 재발 혹은 전이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진찰과 혈청 Tg 측정 , I-131 전신촬영, 흉부 X선 촬영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골스캔이나 양전자 단층촬영 경부 전산화단층촬영 혹은 자기공명단층촬영 등이 필요할 때가 있다.

1) 일차 치료 후 장기 추적에서 재발 위험에 따른 환자 분류

- 질환 없음 ( No evidence of disease , NED )

ㄱ. 임상적으로 종양의 근거가 없고

ㄴ.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전신 스캔에서 갑상선 및 밖의 조직에 방사능 섭취가 없고

ㄷ. 경부 초음파검사가 정상

ㄹ. Tg  항체가 없는 조건에서 측정한 Tg 가 TSH  억제 및 자극조건 모두에서 측정되지 않는 경우

- 저위험군

ㄱ. 국소 또는 원격 전이가 없다

ㄴ. 육안으로 확인된 모둔 병소를 수술로 제거

ㄷ. 주위 조직으로 침입이 없다.

ㄹ. 공격적 조직형( 키큰세포형, 원주세포형, insular 형) 이 아니다

ㅁ. I-131치료후 전신스캔에서 갑상선 이외의 조직에 섭취가 없다.

- 중위험군

ㄱ. 일차 수술 당시 갑상선 주위의 연조직으로 현미경적 침입이 있는 경우

ㄴ. I-131 갑상선 잔여 조직 제거 후 시행한 전신 스캔에서 갑상선 바닥 이외의 조직에 섭취가 있거나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ㄷ. 조직형이 공격적이거나 또는 혈관 침입이 있는 경우

- 고위험군

ㄱ. 육안적으로 주위 침입이 있는 경우

ㄴ. 종양의 완전 제거가 안 된 경우

ㄷ.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ㄹ. I-131 치료후 전신스캔에 비해 혈청 Tg 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