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태아 갑상선기능 1 2020-10-30

https://blog.naver.com/gogngs/222131013406

 

 

 

1. 개체 발생

태아 갑상선기능의 발달

임신 시기

갑상선기능 발달

10~12 주

요오드섭취 , 갑상선호르몬 생산 , TSH 생산

10~18 주

조직 안 T3 수용체 발달

12~14 주

시상하부에서 TRH 검출

18~22 주

뇌하수체 문맥계 완성, 혈청 TSH 상승

36~40 주

요오드 자가조절능 성숙

갑상선 여포세포는 임신 16일부터 보이기 시작하며, 24~32일 사이에 세포의 이동이 시작되고 40~50일 경에 갑상선 위치에 도달한다.

태아의 시상하부 - 뇌하수체 - 갑상선 축은 모체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임신 10~12주 경에 태아 갑상선과 뇌하수체가 독립적으로 발달하여 요오드섭취가 시작되고 , 갑상선호르몬과 TSH 를 생산한다.

10~18주 사이에 조직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발견된다.

그러나 태아의 혈청 T4는 아직 정상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이시기에는 모체의 갑상선호르몬이 태아 발육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상하부에서 TRH가 발견되는 것은 임신  12~14주경이다

TSH는 임신 8~10주 경에 태아의 뇌하수체와 혈청에서 발견되는데 , 이는 태반에서 분비된 TRH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임신 18~22 주경에 태아의 시상하부 - 뇌하수체 문맥계가 완성되어 태아 TSH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난다.

혈청 TSH는 임신 24~28 주경에 최고치에 이르고 , 이후 약간 감소한다.

혈청 총 T4 는 임신 20 주까지 낮고 이후 점차 상승하며, TBG 와 유리ㅏ T4 의 상승을 동반한다.

총 T3는 출산 까지 계속 낮으며, rT3는 임신 중기에 최고치에 도달한후 출산까지 점차 감소한다.

임신 중기 이후 뇌하수체 -갑상선 축이 성숙하기 시작하여 T3 에 의한 TSH  분비 억제가 나타나고 TSH  자극에 대한 갑상선의 반응이 증가한다.

그러나 태아에서는 유리 T4 치와 TSH 사이의 상관관계가 불량하다.

즉 태아의 뇌하수체-갑상선 축이 불완전한 상태로 해석된다.

태아에서 요오드에 대한 갑상선 여포세포의 자가조설능은 출산 직전(임신 36~40주) 에 성숙된다.

따라서 임신중에 과량의 요오드에 노출되면 태아 갑상선종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2. 임신 중 태아 갑상선호르몬 변화

임신초기 태아의 유리 T4 농도는 산모의 약 1/3 에 달한다.

임신 중기가 시작될 무렵이면 태아의 유리 T4  농도는 산모의 약 40~50% 에 달한다.

임신이 진행되면서 태아의 총 T4 , T3 및 갑상선호르몬결합단백의 농도가 증가한다.

태아의 혈청 안에는 유황화 T4 , 유황화T3 , rT3 등도 많은데 , 임신 중기 내지 임신 말기 초에 최고치에 달하며 지속된다.

TSH도 같은 변화 양상을 보인다.

한편 유리 T3 농도는 전 임신 기간 동안 산모의 농도보다 낮다.

3. 양수의 갑상선호르몬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