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관내유두종(IDP: intraductdal papilloma) 2021-11-06

https://blog.naver.com/gogngs/222560043523 

 

 

IDP는 조직학적으로 중심성 유두종 ( cental papilloma : C-IDP),과 변연부 유두종 ( peripheral papilloma : P-IDP) 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C-IDP 는 유두 바로 아래쪽의 크기가 큰 유관에서 기원하는 단일성 양성병변이다.

30~50세의 중년여성에서 발생

혈성 유두분비물을 잘 동반한다.

크기가 큰 경우 유두 아래 만져지는 종괴로 발견되기도 한다.

육안소견으로 확장된 관내에 경계가 좋고 표면이 울퉁불퉁한 종괴로 나타날 수 있다.

P-IDP는 종말관소엽단위에서 기원하느 다발서 병변으로 일종의 증식성 유방질환이다.

좀 더 젊은 연령에서 발생

유두분비물이나 종괴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

육안으로는 병변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조직학적으로 IDP는 나뭇가지 모양의 섬유혈관줄기와 이것을 둘러싸는 안쪽의 근상피세포층과 내강쪽의 상피세포층으로 구성된다.

섬유혈관줄기의 두께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상피세포는 한 층 또는 여러 층의 입방형 혹은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양한 정도의 관상피증식을 보인다.

아포크린 화생이 흔히 동반되며 편평상피화생이 관찰될 수도 있다.

섬유혈관줄기나 관벽의 섬유화 및 경화성 변화가 심하게 진행되어 유두상 구조가 없어지고 콜라겐 섬유로 대체된 병변을 경화유두종(sclerosing papilloma)이라 한다.

이때 경화된 부위에 형태가 변형되고 찌그러진 선구조가 포획되어 있어 침윤성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저배율에서 유두상 구조를 보이는 부분을 확인하고 고배율소견이나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선조직에 근상피세포층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양성병변으로 진단할 수 있다.

P-IDP는 C-IDP와 조직학적 소견이 동일하지만 ADH나 DCIS를 동반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

IDP는 외과적 절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C-IDP의 유방암 발생위험도는 일반인에 비해 약 2배

P-IDP의 유방암 발생위험도는 약 3배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