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일반형 침윤성 암종 2021-12-06

https://blog.naver.com/gogngs/222587813637 

 

 

 

일반형 침윤성 암종은 조직학적으로 특수 아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침윤성 암종으로 정의 한다.

기존에 invasive carcinoma, not otherwise specified (ductal NOS) , 침윤성관암종 infiltrating/invasive ductal carcinoma 등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다.

세계보건기구 종양분류 제 4판 에서 일반형 침윤성 암종으로 용어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침윤성 관암조이라는 용어르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형 침윤성 암종은 전체 침윤성 유방암조의 약 40~75%를 차지하며 다양한 임상적 , 병리학적 , 생물학적 특징을 가진다.

1. 육안소견

전형적인 육안소견은 매우 단단하고 경계가 불분명한 방사상의 결절

절단면은 회백색으로 내부에 희거나 황색의 선이 보이고 자를 때 서걱거리는 느낌이 든다.

이러한 소견은 종양 내부의 심한 결합조직원성 간질을 반영하는 것으로 섬유성 간질의 양이 적은 경우는 황갈색의 부드럽고 비교적 경계가 좋은 결절로 보이기도 한다.

최근 조기 유방암의 발견 증가로 인해 대부분 2cm 이하의 크기로 측정되나 5cm 이상의 큰 종괴로 관찰되는 경우도 있으며, 병변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는 주변 조직으로 침윤하여 흉벽에 고정되거나 , 피부의 함몰과 궤양을 동반하기도 한다.

2. 조직학적 소견

종양세포의 성장 양상, 세포학적 특징 , 유사분열능, 간질의 섬유화, 동반된 관상피내암종의 정도에 따라 조직학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학적 다양성은 서로 다른 종양 사이뿐 아니라 동일한 유방암내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일반형 침윤성 암종은 구조적으로 선( gland), 줄 (cord), 또는 섬유주(trabeculae)의 형태 , 작은 세포 군집(cluster) 또는 판상 (sheet)의 성장 양상을 보이거나 이러한 다양한 구조가 혼합된 형태를 보인다.

종양세포 역시 다양한 세포학적 특성을 보여서 종양세포의 크기가 작고 규칙적인 경우와 세포가 크고 핵과 세포질의 비가 높으며 , 심한 이형성과 다형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여러 분류 체계중 Elston 과 Ellis 에 의해 수정된 조직학적 등급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쳬계에서는 조직학적 분화도 (관 형성 정도 ) , 핵의 다형성 정도와 유사분열 능에 따라서 등급을 결정한다.

관 형성 정도는 저배율 소견에서 분명한 내강을 보이는 관 또는 선 구조의 범위를 파악하여 10% 와 75% 를 기준 값으로 삼아 1~3 점을 부여한다.

핵의 다형성 정도는 주변 정상 상피세포 핵의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종양세포의 핵의 크기가 정상 상피세포와 비슷하거나 약간 커져 있는 정도로 작으며, 염색질이 균일하고 , 핵소체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1 점

종양세포의 핵이 정상 상피세포 핵에 비해 커져 있으며, 중등도의 다형성을 보이고, 작고 뚜렷하지 않은 핵소체를 보이는 경우는 2점

종양세포의 핵의 크기와 모양에 심한 다형성을 보이며, 수포성의 거친 염색질을 가지고, 핵소체가 뚜렷하게 관찰되면 3점을 부여한다.

이때 핵의 다형성이 종양의 부위별로 다를 경우 다형성이 가장 심한 곳을 선택하여 판독한다.

유사분열 역시 가장 세포증식이 높은 부분을 선택하여 10개의 고배율 시야에서 유사분열 개수를 세고 , 이에 따라 1~3 점을 부여한다. 이때 현미경 필드의 지름 또는 면적에 따라 기준 값이 다르므로 이를 참고로 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각자 얻어진 값을 합산하여 3~5 점인 경우 등급 1 (저등급 , 고분화 ) , 6~7점인 경우 등급2 (중등급, 중등도 분화 ), 8~9점인 경우 등급3 ( 고등급, 저분화)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조직학적 등급 체계는 일반형 침윤성 암종 뿐 아니라 특수 아형을 포함한 모든 침윤성 유방암종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반형 침윤성 암종의 약 80%에서 다양한 비율의 관상피내암종을 동반하며, 동반된 관상피암종은 대체로 침윤성 암종과 같은 핵등급을 보인다.

종양의 간질은 다양한 정도의 섬유화를 보이며, 침윤된 염증세포의 종류와 정도도 다양하게 관찰된다.

3. 생체표지자 발현 및 분자생물학적 특징

일반형 침윤성 암종의 70~80%는 에스트로겐수용체 양성이며,

약15% 정도는 HER2 양성이다.

호르몬수용체 발현과 HER2 유전자 증폭 여부 , 분자아형에 따라 서로 다른 병리학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를 보인다.

4. 임상 경과 및 예후 인자

다양한 예후를 보인다.

예후와 관련된 인자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여부 , 조직학적 등급 , 림프혈관 침윤, 세포 증식능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