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 분화암 ( 유두암 및 여포암) 6- 치료 2020-06-26

https://blog.naver.com/gogngs/222013121533

 

 

1) 수술

잘 분화된 갑상선암은 원격 전이에 무관하게 일차적으로 갑상선 종괴를 제거한다.

수술 범위는  한쪽 엽만 제거하는 경우부터 갑상선 전 절제술 까지 다양하다.

(1) 수술전 검사

초음파 검사는 수술 범위 및 림프절 절제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초음파 소견에서 hilum 이 없거나 둥근 모양 ( 단경이 5mm 이상) , 낭성 변화를 동반 , 미세석회화 , 경계부 혈류 증가 등의 소견이 있으면 전이를 의심할 수 있다.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US- FNA  를 시행하여 악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2) 수술 방법

갑상선 암의 수술 방법은 엽 절제술 과 갑상선 전절제술 로 크게 나뉜다 .

전절제술은 갑상선 좌우 양엽과 그 사이 협부 등 조직 전부를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엽절제술은 암이 침범한 쪽의 엽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갑상선 분화암의 치료 지침은 갑상선 전절제술 을 표준 치료법으로 한다.

갑상선 엽절제술 이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유두암 : 종양이 1cm 미만이면서 , 일측성으로 갑상선 안에 국한되며, 경부 림프절 및 원격 전이가 없는 저위험군 , 방사선 피폭의 병력 및 가족력이 없는 예

여포암 : 1cm 미만의 극소침입 여포암.

내시경 갑상선절제술

눈에 잘 띄지 않는 가슴이나 겨드랑이 에 내시경을 넣어 수술하기 때문에 목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 미용상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서 적용시킬수는 없고 , 크기가 작고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에만 시행한다.

다빈치 로봇 수술

내시경 수술과 같은 접근법을 사용한다.

내시경 대신 로봇을 이용하는 수술 방법이다.

미용적으로 우수하다

진행된 갑상선암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3) 림프절 절제

림프절 전이가 명백한 경우에는 중앙 구역(level VI) 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한다.

임상적으로 중앙구역 림프절 전이가 없더라도 진행된 종양 ( T3, T4) 환자에서는 예방적으로 중앙구역 림프절절제술을 고려한다.

종양이 작고 (T1.T2) , 주위 조직 침입이 없고, 임상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유두암 , 여포암은 예방적 중앙 림프절 절제술을 안 할 수 있다.

생검으로 확인된 측경부 림프절 전이 환자인 경우에는 측경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다.

(4) 수술 합병증

갑상선 절제술의 가장 두려운 합병증은 부갑상선기능저하증 과 반회후두신경 마비이다. 갑상선 전 절제술 후에 가장 빈도가 높다

부갑상선의 이식 여부와 무관하게 갑상선 전절제술 후에 약 1/3에서 일과성 저칼슘혈증이 나타나는데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2%미만이다.

영구적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빈도가 낮은데 , 특히 경험이 많은 외과의가 수술하면 빈도가 낮다

수술 직후 부터 저칼슘혈증의 증상을 확인해야 하며 혈중 칼슘 특히 ionized ca측정으로 경과를 관찰하며 , 회복 여부가 불확실하면 부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한다.

저칼슘혈증이 발생하고 증상이 있으면 비타민 D와 함께 칼슘을 공급해야 한다. 

과칼슘혈증을 방지하기 위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영구 후두신경 마비는 약 2%이하로 드물다.

일과성의 성대 기능장애는 더 흔하지만 대부분 1~6개월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