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암 방사선요오드 치료 부작용에 대한 대책 2020-07-28

https://blog.naver.com/gogngs/222044344058

 

 

방사성 요오드 축적 용량에 따른 초기 및 말기 합병증으로  타액선 손상 , 코눈물관 폐쇄, 이차성 암 발생 등이 적지만 나타난다.

따라서 반복적인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합병증 발생의 위험보다 더 유리한 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축적 용량이 증가하면 그 만큼 합병증의 위험은 증가한다.

급성 미각상실 , 미각변화 및 급성 타액선염에 대하여 타액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amifosine, 수액공급 , 콜린작용약, 신맛 나는 사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아직 근거는 부족하다.

구강건조증 , 충치와 같은 타액선의 만성 합병증에 대해서 콜린작용약을 사용하면 타액을 증가시킬수 있다.

구강건조증은 충치 발생의 위험인자이므로 치과의사외 예방법을 상의함이 좋다.

코눈물관 폐쇄는 종종 유루증( epiphora)를 초래하고 감염의 소인이 되므로 교정 수술을 고려한다.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반복한 환자에서 백혈고와 혈소판 수의 감소가 지속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백혈구, 혈소판 수와 신기능을 검사해야한다.

방사성용오드 치료를 받은 가임 여성중 20~27%에서 일시적으로 무월경/희발월경이 4~10개월 동안 지속되나 , 불임, 유산, 태아 기형 등의 발생률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1년 후에 임신을 하도록 한다.

남성에서 400mCi 이상 사용할경우 정자를 보관해둘 필요성이 있다.

수액 공급을 충분히 하고 배뇨를 자주해서 방광을 비우며 , 변비를 피하면 생식선에 대한 방사능 피폭을 줄일 수 있다.

수유 중인 여성에게는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