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진공보조 생검 검체의 병리적 해석 2021-08-13

https://blog.naver.com/gogngs/222468442788 

 

 

검체가 분절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병리과 의사가 병변의 전체적 윤곽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여 판단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 자료에 따르면 맘모톰을 사용하여 비정형 관상피 세포 증식증( ADH) 을 진단 받은 환자에서 조직학적 저평가의 확률이 총 조직검사에서보다 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마도 진공보조 생검기를 이용하면 좀 더 광볌위한 조직 표본을 얻을 수 있으며 표적 병변을 완전 절제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발표된 여러 논문에서

진공 보조 흡인 생검술을 이용하여 표적 병소에 대해 완전절제를 통해 얻어진 검체에서 진단된 양성 유두상 병변의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고 저평가율이 낮아 수술적 절제를 통한 재생검 없이 추저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진공 보조 흡인 생검술상 진단된 양성 엽상낭 종양의 경우에도

시술 중 완전절제가 된 것을 확인하고

3cm 이하로 크기가 작으며

추적 초음파검사상 잔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추적관찰상 재발률이 낮아 재절제없이 추적 관찰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보고들이 있다.

하지만 아직 보고된 논문이 많이 않고 시술자의 경험에 차이가 있으므로

의사의 판단에 따라 개방적 절제생검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