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비중독성 미만성 및 결절성 갑상선종 2 | 2020-03-17 |
---|---|---|
https://blog.naver.com/gogngs/221858185494
1. 병리 갑상선종 형성의 기본 과정은 여포세포의 증식에 의한 새로운 여포 형성이다. 갑상선 용적 증가는 주로 여포 수 증가에 기인한다. 간질 조직의 증식 , 여포강 안의 콜로이드 증가도 갑상선 용적 증가에 기여하지만 그 정도는 상대적으로 경미하다. 미만성 갑상선종의 현미경적 소견은 정상 갑상선과 구별이 안 된다. 결절성 갑상선종의 경우에는 여포의 크기 , 콜로이드 양 , 여포세포의 형태 등이 이질적이다. 기능적 측면에서 여포마다 , 여포 안의 각 세포마다 요오드 섭취능을 비롯한 요오드 대사, 호르몬 생산과 분비능에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갑상선 스캔에서 방사능 섭취의 본포가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결절성 갑상선종의 일부 여포들은 요오드 대사 및 호르몬 합성에 대한 자율성을 갖는다. 2. 병인 1) 비중독성 갑상선종의 자연 경과 발생 초기 단계에는 미만성 갑상선종으로 시작한다. 요오드 결핍지역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소아에서 미만성 갑상선종이 나타나는데 비해 요오드 충분 지역에서는 갑상선종 발생이 늦은 연령에서 시작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미만성 갑상선종은 갑상선종의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결절성 갑상선종으로 발전한다. 동시에 갑상선 기능은 TSH 에 비의존적인 자율성으로 변하며 결과적으로 무증상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거쳐서 명백한 갑상선기능 항진증으로 발전한다. 갑상선의 용적은 연령 및 갑상선종의 기간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다결절성 갑상선종 환자는 미만성 또는 단일 결절성 갑상선종 환자에 비해서 대부분 연령이 높고 갑상선 용적도 크며 혈청 TSH 농도도 낮다. 따라서 비중독성 갑상선종의 자연경과는 갑상선의 성장, 결절 형성 , 갑상선기능의 자율성 발생의 3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2) 갑상선 성장 비중독성 갑상선종에서 갑상선 용적의 증가는 주로 여포세포의 분열 증식에 의한다. 비중독성 갑상선종 형성의 공통적인 기전은 (원인에 무관하게) 새로운 여포 생성이다. 비중독성 미만성 및 결절성 갑상선종의 성장은 경도 내지 중등도의 갑상선종 생성 자극에 의해 시작된다. 갑상선종 생선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여포마다 또는 여포 안 세포마다 다르기 때문에 경도 또는 중등도의 자극에 대해 일부의 세포만이 반응하여 유사 분열을 일으킨다. 이러한 자극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반응하는 세포들이 반복적으로 유사분열을 일으켜서 결국 새로운 여포를 형성하게 된다. 요오드결핍으로 갑상선호르몬 생성이 감소하면 TSH 가 증가하여 갑상선을 자극한다. 그러나 TSH 자극에 의한 갑상선의 성장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만 작용한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비중독성 갑상선종 환자의 혈청 TSH 농도는 정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혈청 TSH 농도를 정상 이하로 감소시킬 정도의 T4를 환자에게 투여해도 갑상선종이 더 커지는 점으로 보아 TSH 이외의 갑상선 성장 자극 인자가 있다고 생각된다. 인슐린양 성장인자-1, 표피성성장인자,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들도 갑상선 성장에 중요하다. 혈질전환 성장인자는 갑상선 성장을 억제한다. 3) 결절 형성 및 기능적 자율성 비중독성 갑상선종에서 결절 형성은 여포세포 개개의 성장 자극에 대한 이질적 반응에 기인한다. 증식 능력이 큰 세포들만이 세포주기에 들어가서 유사분열하며 새로운 여포 형성에 관여한다. 이세포들은 자기의 세포 증식 능력을 후손들에게 전하므로 갑상선종 형성 과정에서 증식 능력이 큰 세포들의 수가 점점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여포 안에서 성장 능력이 큰 세포들의 분포가 불규칙하므로 복제된 후의 자손 세포들도 한 영역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하면서 갑상선종은 결절성으로 증식하게 된다. 갑상선 여포세포 성장 능력의 불균형은 결국 국소적인 다발성의 갑상선세포의 증식으로 이어지며, 어느 정도 증식하다가 자극 인자가 소실되거나 쇠퇴하면 위축성 변화를 일으킨다. 갑상선 여포가 확장되고 때로는 출혈, 섬유화, 염증세포의 출현 및 석회화를 일으키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초기에는 결절이 촉진되지 않는 평활한 갑상선종의 소견을 보이다가 좀 더 진행되면 다결절성 갑상선종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중에 일부 여포세포들은 갑상선종생성 자극이 없이도 증식하는 자율성을 갖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