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그레이브스병 임상증상 - 근육 2019-06-04

https://blog.naver.com/gogngs/221553982935

 

 

 

근육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여러 가지 근육질환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가장 흔한 갑상선 중독성 근병증(thyrotoxic myopathy) 이 있다.

그 외에도 외안근 마비( paralysis of extraocular muscles ) , 중증 근무력증 ( myasthenia gravis ) , 갑상선중독성 주기성 마비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 등도 나타난다.

1. 갑상선 중독성 근병증 ( thyrotoxic myopathy )

근위축을  동반하는 뚜렷한 근병증은 주로 중년 내지 노년층의 남자에서 많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한 쇠약감, 근위축 , 및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고 점차 진행되는데 근병증의 정도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정도 및 기간과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근쇠약과 근위축은 주로 골반요대부와 견대부의 근육에 잘 나타나지만 전신의 모든 근육이 다 침범될 수 있다.

전형적인 증상은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일어날 때 어려움을 느끼며, 손을 머리위로 들어올리기가 힘들고 전신 근육의 동통을 느낄수 있다.

안면근육, 안근들은 잘 침범되지 않는다.

감각이상이나 다른 신경학적 이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건반사는 정상 내지 항진된다.

근전도 소견은 대부분 정상이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치료되면 근병증은 완전히 회복된다.

갑상선 중독성 근병증은 진행성 근위축증 ,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근염 등과 감별을 요한다.

갑상선 중독성 근병증은 진행성 근위축증에 비해 근육과 신경의 쇠약과 위축이 심하지 않고 속상수축(fasciculation) 이 없다.

다발성근염은 피부의 변화를 동반하기도하며, 근전도에서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고, 근생검의 특이 소견으로 감별된다.

중증근무력증은 안면근육이나 안근을 주로 침범하며 근위축이 없고 근육이 빨리 피로해지고, 프로스티그민(prostigmine) 투여에 대한 반응이 좋다는 점으로 쉽게 감별된다.

2. 중증근무력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중 중증근무력증이 동반되는 빈도는 1%미만이다.

한편 중증 근무력증 환자중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빈도는 약 3~6% 로 보고되고 있다.

중증근무력증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동시에 있는 경우 갑상선 중독성 근병증이 첨가되므로 사지의 근력약화가 더 심하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중증근무력증의 치료를 더 어렵게 하지는 않는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치료되어도 중증근무력증은 그대로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치료되면 일반적으로 중증 근무력증의 정도는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중증 근무력증이 병발된 예에서는 갑상선 절제술의 수술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수술보다는 내과적 치료가 바람직하다.

3. 갑상선중독성 주기성마비

가. 빈도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빈도는 드물지만 한국을 비롯한 동양인 남자에서는 비교적 흔히 관찰된다.

한국인에서 유병률은 약 2.6% 

서양인의 빈도는 0.1~0.2% 정도이다.

남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호발연령은 30~50 세

나. 임상소견

육체노동자에서 잘 나타남

덥고 습한 여름철에 잘 나타난다.

환자가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나타난다. 특히 밤에 자다가 혹은 이른 새벽에 갑자가 발병하는 경향이 많다.

전구 증상으로 침범되는 근육의 통증 , 뻣뻣함을 느끼기도 한다.

주기성 마비의 유발 인자로 육체적 과로 , 과식, 과음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 대부분 특별한 유발인자가 없다.

마비는 주로 사지의 근육이 침범된다. 이완성 마비 (flaccid paralysis) 로 나타난다.

모든 환자에서 하지부터 마비가 시작되며, 35%의 환자는 상지까지 침범된다.

평활근과 심근은 침범하지 않는다.

안면근육이나 말하고 삼키는데 필요한 근육들은 거의 침범하지 않는다.

마비의 지속시간은 수 시간에서 수일이며, 평균 1주일 정도 지속된다.

의식은 명료하고 감각의 이상도 없다.

저칼륨혈증이 나타난다. K+ 을 정맥 주사하면 마비가 곧 회복된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회복되면 주기성 마비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완전히 소실된다. 극히 일부 환자에서 재발할 수 있다.

다. 병태 생리

갑상선 중독성 주기성마비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