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비정형관상피증식 2021-10-05

https://blog.naver.com/gogngs/222527400499 

 

 

 

ADH는 상피세포의 종양성 증식이 관의 일부만 침범했거나 전체 관을 침번했다 하더라도 LG-DCIS 로 진단하기에는 양적 기준이 모자란 경우를 말한다.

UDH와는 구조적 및 세포학적 특징의 차이를 보인다.

LG-DCIS와는 병변이 침범된 범위의 차이를 보인다.

ADH는 대부분 우연히 발견되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빈도를 알 수 없지만 , 미세석회화르 맘모톰 생검을 시행한 환자의 7.4% 에서 ADH가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ADH 세포들은 LG-DCIS와 동일한 구조적 및 세포학적 소견을 보이는데

종양세포는 작고 균일한 크기로 둥근 핵을 가지며, 세포 간격이 일정하여 세포 사이의 경계가 뚜렷이 관찰된다.

종양세포들은 UDH에서 보이는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이나 소용돌이치는 모습이 없고, 세포 중첩도 관찰되지 않는다.

이차 강은 둥글고 크기가 비교적 균일하며, 두껍고 견고한 다리를 가진다.

종양세포의 핵은 다리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배열한다.

때로는 종양세포가 관의 내강을 완전히 채우는 충실형 성장을 보이기도 한다.

관의 일부만 침범한 경우에는 UDH에서 보이는 세포들로 둘러싸인 불규칙한 모양의 이차 강이 변연부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ADH는 LG-DCIS 진단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는 진단이다.

WHO 분류에서 양적인 기준에 의하면 , 두 개 이상의 관을 완전하게 침범하거나, 범위가 2mm 보다 큰 경우에는 LG-DCIS 로 진단하고 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 ADH로 진단한다.

양적 기준을 적용하여 두 병변을 구분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크기가 작은 저등급 병변이 DCIS로 진단되어 과잉 치료를 받느 것을 피하려는 데 있다.

중등급이나 고등급 DCIS 소견을 보일 때는 크기나 범위에 상관없이 DCIS로 진단한다.

침생검과 같은 제한된 검체에서 LG-DCIS와 감별이 어려울 경우에는 ADH로 진단하고 최종 진단은 외과적으로 절제한 검체에서 해야 한다.

침생검 검체에서 ADH가 한두 군데 있었던 환자의 7.3%, 그리고 세 군데 이상 있었던 환자의 39%의 절제 검체에서 DCIS가 발견되었다.

수술 검체의 절제연에서 ADH가 발견되면 DCIS의 가능성을 배제하기위해 추가 절제를 시행해야 한다.

ADH가 있을 경우 침윤성 암이 발생할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해 4~5배 높고, 양측 유방에서 발생하는 빈도는 동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