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여성형유방 1 2022-07-01

https://blog.naver.com/gogngs/222796174109 

 

 

1. 빈도

유선 조직의 증식은 시기적으로 주로 영아 , 사춘기와 노년에 생긴다.

영아 여성형유방은 영아의 60~90%에서 발생하며 모체-태반-태아단위로부터 에스트로겐 자극에 의해 일시적인 유방 팽대를 보이는 것으로 이러한 자극은 에스트로겐이 신생아 순환에서 제거됨으로써 유방성장이 멈추고 2~3주 안에 유방조직이 점차 퇴화한다.

사춘기 여성형유방의 빈도는 사춘기 소년의 30~70%에서 여성형유방이 나타난다.

보통 10~12세 사이에 시작하며 13~14세에서 사춘기 발달의 Tanner stage III 이나, IV단계의 최대빈도를 나타내며( 14세에 65%가 발생) 점점 감소하여 16~17세에 사라진다.

10세 이전에 생기는여성형 유방은 드물며 , 이러한 경우 내분비 종양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성인 남성에서 보이는 여성형 유방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여 50~80세에 최대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성형유방은 20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성인 남성에서의 빈도는 정의되는 기준과 연구집단에 따라 24~65%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 병인

남성과 여성의 유선조직에 대한 호르몬의 반응도에 대해 유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유선 증식의 형태와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호르몬 환경, 자극의 기간과 강도 및 유선조직의 호르몬 민감도이다.

에스트로겐 영향에 의하여 유관은 신장되고 분지되며 , 유관상피가 증식된다.

유관주위 섬유모세포가 증식되며 혈관 분포가 증가한다.

이러한 조직학적 형태는 여성형유방 과정 중 초기에 흔히 florid stage 로 정한다.

세엽 발달은 남성에서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것은 생리주기의 황체기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성형 유방은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의 유방 자극 작용과 안드로겐의 억제작용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적으로도 여성형 유방과 관련된 많은 질환에서 에스트로겐/안드로겐 비의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여러 기전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병태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농도 또는 그 효과 사이의 불균형은 여러 기전의 이상으로 생겨날 수 있다.

고환이나 부신 신생물 , 에스트로겐의 과생성 및 에스트로겐 전구물질의 에스트로겐으로 성선외 전환에 의한 에스트로겐의 과형성은 총 에스트로겐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런 성선외 전환은 유방조직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실제로 특발성 여성형 유방을 가진 일부 환자의 치골부 피부섬유세포에서 안드로겐이 에스트로겐으로 방향족화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에스트로겐의 대사가 늦어지거나 성호르몬결합글로블린에 결합되어 있는 에스트로겐이 떨어져 나오면 혈중 유리에스트로겐의 절대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고환의 일차결손, 뇌하수체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긴장성 자극의 소실, androgen 분해 대사 촉진 , androgen 과 SHBG의 결합 증가 등의 원인으로 고환에서 안드로겐의 분비 감소발생하면 , 유선 조직에서 에스트로겐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유리안드로겐의 감소가 생기게 된다.

즉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간의 균형은 유리안드로겐의 양과 가용성 뿐만 아니라 표적조직에서 작용하는 유리안드로겐의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안드로겐 수용체의 결손 또는 하안드로겐 작용을 갖는 약제 ( 예, spironolactone)에 의한 수용체로부터 안드로겐의 이탈은 안드로겐 작용을 감소시켜 유선세포에서 에스트로겐에 대한 길항작용을 감소시킨다.

일부 사람에서 에스트로겐이나 안드로겐에 대한 유방조직의 선천적 감수성은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이 정상농도에서도 여성형유방을 생겨나게 할 수 있다.

3. 관련 상태 및 관련 질환

2/3 의 대부분의 환자들은 사춘기 여성형 유방 ( 25%) , 약제에 의한 여성형유방( 10~20%), 또는 특발성 여성형유방( 25%) 이다.

나머지의 경우 간경변 또는 영양실조( 8%) , 일차 성선기능저하증(8%) , 고환종양( 3%) 이차 성선기능저하증(2%), 갑상선기능항진증(1.5%), 신장질환(1%)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