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종양 면역편집 2023-02-03

https://blog.naver.com/gogngs/223004030705 

 

 

종양 면역 감시 체계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환자들이 임상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크기의 암을 가진 상태로 발견되며 ,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발 및 질병 진행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

이는 종양을 감시하여 암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우리 몸의 면역계가 암세포를 면역 회피에 유리하도록 변형시키는 기능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처음 도입된 종양에 대한 면역감시의 개념은 이후, 종양세포와 면역계의 좀 더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개념인 종양 면역편집 과정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종양 면역편집 과정은 제거, 균형, 회피 소위 3 E 로 불려지고 있다.

제거 단계는 종양 발생의 초기 단계로서 , 고전적인 면역감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암세포가 선천 및 후천 면역계에 의해 제거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항 종양 면역 반응은 종양의 성장과 함께 국소 면역 반응이나 종양 주변 간질 세포에 의한 리모델링에 의해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시스템(NKT세포, NK세포, 대식세포) 이 활성화되면서 시작된다.

이후 NK세포 등에 의해 분비된 인터페론 감마 등에 의해 국소 면역 반응 및 암세포 살상 효과가 발휘되며, 한편으로는 항원 제시세포와 연이어 CD4/CD8 양성 T세포로 이어지는 후천 면역반응이 유도됨으로써 효과적인 항암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유도된 T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된 다량의 인터페론 감마는 종양세포의 세포주기 진행 정지 , 세포 자멸 유도, 신생혈관 억제 및 대식세포의 암세포 살상 작용을 항진시킨다.

균형 단계는 숙주 면역계와 이전 단계에서 살아남은 암세포가 역동적인 균형을 이루는 상태로, 림프구와 인터페론 감마가 암세포에 선택압으로 작용하면서도 이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임상적으로는 이 단계가 종양 면역편집 과정 중 가장 긴 시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발암 과정이 시작된 후 실제 암이 발생하기까지 일이십 년의 기간이 이 시기에 해당된다.

암세포가 제거 단계에서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살아 남을 수 있는 주요 기전으로는 암세포의 유전적 불안정성이 가장 주요한 인자로 보인다.

즉, 암세포의 DNA 수리기전, 염색체 불안정성 등 때문에 면역계를 비롯한 숙주 반응에 의한 효과적인 암세포 제거가 어려운 것이다.

회피 단계는 균형형 단계에서 선택된 변이 종양세포가 온전한 면역학적 환경에서도 성장을 시작하는 상황이다.

이는 종양 세포가 유전학적 또는 후성학적 변이에 의해 면역계에 의한 감시에서 벗어나거나 효과적인 제거가 어렵게 됨으로써 발생하며,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면역학적 회피 기전도 동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