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비정형관상피증식증 2022-05-27

https://blog.naver.com/gogngs/222748897158 

 

 

1. 정의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은 관상피증식증과 관상피내암의 소견을 동시에 갖고 있으나 , 관상피내암의 소견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증식성 병소이다.

즉 저등급 관상피내암의 소견을 가지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정상 상피소견과 관상피증식을 보이는 겨우로 , 비정형관상피증식증에서 관상피내암이 차지하는 양적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2. 임상소견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은 고위험 유방 병소 중 가장 흔하다.

이 병소는 임상적으로는 아무 증상도 없이 유방 사진이나 다른 병소 , 즉 섬유낭종성 변화 , 섬유선종, 경화성 선증 등으로 진단되어 조직검사를 시행 시 우연히 발견된다.

평균 연령은 50세 ( 15~78세) 로 개화성관상피증식증의 발생연령보다는 5년이 늦고 , 관상피내암보다는 5년이 젊다.

3.빈도

발생빈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 이유는 우연히 발견되는 병소이기 때문에 )

4. 진단

관상피세포의 증식을 진단하는 데는 구성세포와 구조적 형태 등 두가지 주요 특징적인 소견을 참고하고 있느데 , 이 소견을 기본으로 해서 관상피증식증과 비정형관상피증식증, 관상피내암으로 구분한다.

관상피증식증과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을 구별하는 데는 세포학적 소견이 가장 중요하며 , 비정형관상피증식증에서 볼 수 있는 증식세포는 괴사가 없는 저등급관상피내암 같이 세포가 단조롭고 균일하게 보이고 , 핵은 낮은 등급의 이형성을 보이지만 역형성성 다형성 을 볼 수 가 없다.

균일하고 둥근 세포는 핵과 세포질의 비가 증가되고 둥근 핵을 보인다.

세포의 증식은 개화성관상피증식증과 함께 단일 세포들의 국소군집을 보이거나 , 순수한 동일한 모양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이형성을 보이기도 한다.

비정형관상피증식증과 저등급 관상피내암의 감별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감별 기준에 대한 논란도 많다.

비정형관상피증식증과 관상피내암을 감별하는 것은 관상피내암의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어렵다.

다양한 관상피내암 중 면포형은 비정형증식이나 역형성 , 고형화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중심부 괴사가 있기 때문에 중심부 괴사가 없는 다른 종류의 관상피내암과 함께 감별진단이 비교적 쉽다.

그러나 비괴사성 관상피내암은 균질세포군의 증식소견 때문에 감별진단이 어려워 일반적으로 악성 암종의 주요 소견이 없기 때문에 성장 양상에 근거하여 진단된다. 즉 미세유두상, 체모양, 중층방추세포들을 통해 구별해 볼 수 있다. 대부분 비촉지병소로 유방촬영술에서 발견되고, 병리학적 소견에서 단일세포군과 잘 정렬된 세포성장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진단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5. 치료

대부분 단순히 국소적으로 완전광범위절제를 함으로서 치료가 가능하다

국소방사선요법은 필요 없다.

보통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의 후발암 발생기간은 8.2년으로 절제 후 보다 정밀한 경과관찰이 필요하다.

NCCN 가이드라인에서는 유전성 유바암의 병력이 있으면 예방적 유방 전절제술을 권유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