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Lobular Carcinoma In-Situ (LCIS) , 소엽성 상피내암 2018-06-21

https://blog.naver.com/gogngs/221303662729

 

소엽성 신생물은 유방의 소엽에서 발생하는 증식성 병변으로  비전형적인 소엽증식증(ALH)과 소엽성 상피내암(LCIS)이 포함된다. 둘다 침윤성 유방암의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소엽성 상피내암이 소엽증식증보다 더 위험증가가 높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이두가지를 구분한다. 

lobular carcinoma in-situ (LCIS) 는 유방에서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이 7~11 배이다. 

Lobular Carcinoma In-Situ (LCIS) , 현미경사진

LCIS 의 암 위험도
 LCIS는 매우 낮은 암잠재력을 가진 게으론 병변지만, 동측이나 반대편 유방에 침윤성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LCIS 를 가진 여성에서 침윤성 유방암이 발생할 상대적인 위험은  LCIS가 없는 여성의 약 2배 입니다.  절대적인 위험은 사는동안 1년에 1% 입니다. 
 NSABP( National Surgical Adjuvant Breast and Bowel Project )  연구에서 LCIS를 가진 180명의 여성을 추적관찰 하였습니다.

12년 추적관찰한 결과 대상인원중 약 5%의 여성에서 같은 쪽 유방에 invasive lobular carcinoma 가 발생하였고, 반대측에 5.6%의 여성에서 invasive lobular carcinoma 가 발생하였습니다. 

2005년 Chuba 와 동료들이 연구한 NCI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에서 10년 동안 7.1%의 여성에서 침윤성 유방암이 발생하였다고 보고 하였습니다. 

LCIS 는 종종 유방암환자의 약 5%에서 침윤성 유방암과 연관되어 존재 합니다. 침윤성 유방암과 LCIS 가 함께 있는 환자가 LCIS가 없는 침윤성 유방암 환자보다 재발의 위험이 더 큽니다. 

치료  
Treatment of LCIS
중심생검상 LCIS 가 진단된 경우 절제생검을 시행하여 동반된 침윤암이 있는지 확인 해야한다. 그리고 감시림프절 생검도 시행한다.
유방보존술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