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방초음파 적응증 | 2021-05-28 |
---|---|---|
https://blog.naver.com/gogngs/222371661399
1) 촉지성 병변의 확인과 평가 만져지는 병변을 소호하는 환자에서 유방초음파는 병변의 유무 판정 및 원인을 밝히는 데 유용하다 유방촬영술에서 안 보이거나 불분명한 유방암을 초음파 검사에서 흔히 발견하게 된다 지방형 유방의 경우 유방촬영술에서 보이지 않는 촉지성 병변은 대부분 지방 소엽이나 지방종이다. 치밀유방에서는 유방암 등 진짜 종괴로부터 정상 유방 실질과 지방 까지 다양한 원인이 있다. 유방촬영술과 초음파에서 음성일 경우 촉지성 이상이 암일 확률은 매우 낮다 촉지성 종괴로 내원한 환자에서 초음파는 병변을 확인하고 조직검사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 초음파에서 분명한 고형 종괴가 있으면 영상소견과 관계없이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안전한 표준 진료행위 이다. 2) 종괴 외 임상증상의 평가 유두 분비물, 통증 , 불쾌감, 피부나 유두 함몰 등이 유방암의 증상일 수 있다. 한쪽 유방의 자발적인 혈성 또는 장액성 유두분비물이 있는 여성의 평가에 유선조영술이 표준검사였지만 점차 비침습적이며 쉽게 조직검사유도가 가능한 초음파로 대체되고 있다. 유방에 국소적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유방초음파의 적응증이 된다 치밀유방에서 통증 부위를 검사하여 유방암을 배제하고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낭종이나 염증 병변을 발견하는 것은 환자 진료에 도움이 된다. 3) 유방촬영술 이상소견에 대한 평가 유방촬영술에서 발견된 종괴가 고형 병변인지 낭성 병변인지를 구별하는 데에 유용하다. 초음파에서 양성가능성이 높을 것 같으면 6개월 추적검사를 할 수도 있고 , 암이 의심되는 경우 침생검을 할 수도 있다. 작은 고형 병변 특히 지방에 둘러 싸여 있는 병소는 등에코로 보이므로 초음파로 발견하기 힘들다. 유방촬영 영상에서 병변의 시계방향 위치 , 유두로부터의 거리 , 깊이에 의해 정해지는 의심되는 부위에 중점을 두고 초음파를 시행한다. 초음파로 병변을 발견한 경우 , 초음파상의 크기 , 모양, 위치 , 주변조직 밀도 등을 세밀히 평가하여 유방촬영술과 초음파의 이상 소견이 일치하는 가를 판정해야 한다. 유방초음파 소견이 양성으로 판단되는 병변이더라도 확대 유방촬영상에서 불명확한 변연이나 의심스러운 미세석회화를 보이는 경우는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4) 중재적 시술의 유도 초음파 유도하에 할 수 있는 중재적 시술: 낭종 흡인 세침 흡인 또는 침생검 농양 배농 수술 전 바늘 위치결정술 일부 미세석회화 병변에 대해서도 초음파를 사용함으로써 경피적 생검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5) 수술 전 범위 파악 일차 종괴의 크기와 위치 파악 , 다초점성 및 다중심성 병변의 발견과 지역 림프절 평가에 초음파가 유용하다. 수술 전에 반대쪽 유방도 세밀히 검사해야 한다. 5% 정도의 환자에서 반대쪽 유방에도 유방암이 있을 수 있으며 , 10~20% 정도의 환자에서 양성 병소가 발견된다. 6) 수술 후 추적검사 양성 병소나 암으로 외과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로 인한 정상 변화와 새로운 암 발생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한데 유방초음파가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술로 인한 실질왜곡이나 혈종, 지방괴사 등은 불명확 또는 침상 경계의 종괴로 보일 수 있지만 수술부위에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 소실 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 1년 후 반흔이 자리를 잡은 후 새로 보이는 종괴는 재발암을 생각하여야 한다. 7) 유방 삽입물 평가 유방 확대 목적으로 삽입한 보형물의 평가에 이용될 수 있다. 파열이 없는 삽입물은 초음파에서 에코성의 벽을 가진 무에코 구조물로 보인다. 삽입물의 파열이 생긴 경우 내부에 두 줄로 보이는 고에코의 구조물이나 눈보라가 치는 모습의 혼합 에코를 보인다. 이는 피막내 파열 과 피막외파열의 특징적인 소견 이다 하지만 유방삽입물의종류가 수십가지이고 정상 초음파 소견도 매우 다양하며 초기 삽입물 파열은 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정상 삽입물에서 보이는 정상적인 접힘을 피막내 파열로 오진하지 말아야 한다. 파라핀이나 실리콘을 유방 실질에 바로 주사한 경우에는 이물질에 의한 강한 후방 그림자 때문에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자기공명영상은 삽입물 파열이나 실질 주사한 여성의 유방 평가에 초음파보다 민감하고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