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측정 방법 | 2023-06-08 |
---|---|---|
https://blog.naver.com/gogngs/223123525218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측정 방법 유방암에서 ER 과 PR의 상태는 중요한 예후 정보를 제공하면서 호르몬치료의 반응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주요 임상적 예측인자이므로 ER과 PR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특히 PR 소실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밝혀지고 있어 향후 PR 발현 소실의 임상적 의미가 새롭게 조명될 가능성이 있다. (1) DCC 리간드 결합 분석 임상에서 일상적으로 쓰였던 최초의 원형 분석은 종양의 세포질에서 추출하는 방법이었다. 종양 세포질을 방사선 동위원소를 붙인 스테로이드(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 와 함께 배양하여, Scatchard plots 을 이용하여 계산된 총세포질단백 mg 당 수용체 단백 펨토물(fmol)을 표시한다 (fmol/mg). 그러나 DCC 분석법은 종양의 세포출실성과 이질성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고 신선동결조직이 필요하다는 등 몇 가지 단점이 있었다. 1980년대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이 주관하여 질관리 프로그램을 거쳐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였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실험실에서는 10 fmol/mg 이상의 단백질을 양성으로 정의하고 3~9는 경계 양성 , 3 미만은 음성으로 정의하였다. 이 분석법은 종양 조직에서 신생 조직뿐만 아니라 비신생 조직 세포를 포함하여 전체 점수를 제시하게 되므로 전체 종양에서 암과 다른 조직의 비율에 따라 잘못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ER 및 PR에 대한 특이적 항체의 개발로 이제는 DCC 방법은 임상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면역조직화학분석 IHC 분석은 종양 내 이질성에 동반되는 문제점을 수용할 수 있고, 개별 세포 수준에서의 수용체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해 준다. 또한 DCC에 비해 노동력이나 비용이 절감되고, 작은 종양에서도 분석할 수 있다. 조직검사를 할 때 수용체 상태를 형태학적 검사와 연관지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중요한 점은 후향적으로 수집된 포르말린 고정검체나 파리핀 조직등 세침검사조직이나 동결조직 등에서도 검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IHC 분석은 폐경 전이나 폐경을 목전에 두고 있는 환자의 DCC 분석에서 문제가 되었던 bound ligand로 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해석이 주관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HC는 우선 다양한 항원 회수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된 얇은 조직 단면을 ER 또는 PR에 대응하는 일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킨다. 그리고 효소와 결합된 이차 항체를 이용하여 이차검출체계를 통해 발색 신호를 증폭시킨다. 단면은 최종적으로 대비 염색제로 착색되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ER 과 PR 모두 주로 핵에서 염색이 이루어지며 점차 민감한 결과 판정법이 개발되면서 대부분의 경우 양성발현 또는 무발현으로 판정 보고되고 있다. 미국 임상종양학회와 미국병리학회는 2010년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ER과 PR은 모든 침윤성 유방암에서 측정되어야 하지만 비침윤성 유방암에서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지 못했다. 또 ER , PR 발현의 기준은 모두 1% 이상의 암세포에서 발현하는 것으로 정하였고, 1%미만의 암세포 핵에서 양성 염색인 경우 비종양세포핵에서 일부 염색이 되는 경우는 음성발현으로 정하였다. 가장 고도로 발달된 수기 점수화 체계 중의 하나가 AS( Allred Score) 다. 이는 양성으로 염색된 종양세포의 비율 점수 ( proportion scar ; PS, 범위 0~5) , 와 양성으로 염색된 종양세포의 평균적 강도 점수 ( intensity score ; IS, 범위 0~3)로 나타낸다. 비율과 강도 점수를 합하여 전체 점수 ( Total score; TS, 범위 0, 2~8 )가 된다. Allred score 는 낮은 수용체 발현 정도에서도 결과(양성, 음성) 를 판별할 수 있다. 전체 점수가 3에서 8점 사이는 ER 양성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는 10%로 약하게 핵에 염색되거나 중간 강도로 1% 핵에 염색된 것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방암은 완전한 ER 음성이거나 확실한 ER 양성으로 나타나며 약한 ER 양성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3) RNA 기반 분석 ER 발현을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또 다른 방법에는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과 같이 RNA 를 이용한 분석법도 있다. 고정된 조직에서 추출한 RNA 를 이용하여 21개 유전자의 발현을 정량분석하는 Oncotype DXTM 의 개발은 보관된 조직으로부터 ER 및 PR RNA 발현을 안정적으로 유의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ER 및 PR에 대해 각각 3,000배 및 1,000배 범위 이상으로 연속된 분포를 보여주었다. Ki-67 또는 에스트로겐 반응 유전자 같은 증식에 관련된 인자들의 변화에 대한 평가는 종양의 에스트로겐 의존성을 의미 할 수 있다. 따라서 진단과 수술 사이의 짧은 기간 동안 이러한 인자들의 변화는 ER 양성 환자의 호르몬 치료 반응성을 예측하는 또 한 가지 전력으로 평가된다. 현재 Ki-67의 변화는 호르몬 치료의 상대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로 여겨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