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 줄기세포의 임상적 의의 2023-03-28

https://blog.naver.com/gogngs/223057973391 

 

지금까지 국소 유방암 치료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전이 유방암의 치료에서는 큰 진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현재의 치료 방침이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일 수 있다.

암 줄기세포 가설은 항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암 줄기세포는 방사선요법과 항암화학요법에 저항성이 있다.

줄기세포는 천천히 증식하며 대체로 오랜 기간 세포주기에서 휴지기(GO)상태이다.

이것이 세포주기에 작용하는 항암제에 대해 줄기세포가 저항성을 갖게 되는 원인이다.

또한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발현이 암 줄기세포에서 증가되고, 유방암 내성단백질이 유방암 에서 과발현되고, Hoechst dye 를 차단함으로써 유동세포 분석법의 측면개체 집단을 생성하게 된다.

줄기세포에서 발현이높은 ALDH1은 cylophosphamide 같은 항암제를 대사시킬수 있다.

암 줄기세포에서는 survivin과 BCL2-family 단백질 같은 세포자멸사를 방지하는 분자물질의 발현이 증가된다.

Yu 등은(2010)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 연구에서 항암화합요법 후에 CD44+/CD24-유방암 줄기세포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줌으로써 유방암 줄기세포의 항암화학요버 및 방사선요법에 대한 저항성에 대한 증명과 함께 현재의 치료제들이 암 줄기세포 군을 표적 치료하지 못하는 한계에 대해서 도 지적하였다.

Korkaya 등(2008)은 최근 사람의 정상 유방 상피세포 및 유방암 세포에서 ALDH1과 마찬가지로 ERBB2 과발현이 줄기세포 비율을 증가시킴을 발견하였다. 또한 ERBB2 유전자 증폭을 가진 유방암은 치료 전 CD44+/CD24-세포 비율의 증가를 보였고 이 현상은 ERBB2 억제제 투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Magnifico 등(2009) 은 HER2 과발현 유방암 세포주를 사용하여 암 줄기세포 집단을 유지하는 데 있어 HER2 유전자의 주요 역할을 보여주었다.

각 세포주 내에서 다른 대부분의 세포 집단과 비교하여 mammosphere 형성 혹은 ALDH1 발현 증가와 같은 줄기세포의 특서을 보이는 세포들은 이와 함께 HER2 과발현을 보였다. 더욱이 그들은 HER2 억제제인 trastuzmab 혹은 HER2와 상피성장인자 를 동시에 억제하는 lapatinib이 특별히 이 HER2-과발현 암 줄기세포군을 표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유방암 줄기세포주, 마우스 이종이식 모델, 사람의 일차암 및 전이암 조직 등을 사용하여 Ithimakin등(2013)은 ER+, HER2-, luminla 아형 유방암의 암 줄기세포에서 HER2가 선택적으로 발현되며 HER2가 암 줄기세포의 자기재생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암 줄기세포 가설에 의거하여 Chun등(2012)은 정상 유방줄기세포를 감소시켜 유방암을 예방하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을 FVB/N 마우스 유방의 유관내로 주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유방 조직을 제거하여 유선세포들을 단일세포화하여 성체 처녀 마우스 유방의 유선 제거 지방패드에 주입 후 유선의 재생을 관찰함으로써 유선 재생 단위로 측정된 정상 유방 줄기세포의 능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나 동시에 일부 수여 마우스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유방의 악성종양이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암 줄기세포 가설에 의거하여 유방암 예방을 위해 정상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한 연구가 필요하다.

Dalerba등 (2016)은 병기 2, 3 대장암 환자들을 대사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줄기세포 특성을 더 많이 가진 암에서 분화암보다 5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줄기세포 특성을 가진 종양이 더 침윤적이고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암 줄기세포 연구가 임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