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초음파유도 중심부침생검 2021-07-20

https://blog.naver.com/gogngs/222438364591 

 

 

 

1993년 처음 기술된 이래 여러 보고에서 안정성 및 정확성이 입증 되었다.

① 적응증

초음파에서 보이는 범주 4 이상의 종괴는 모두 대상이다.

범주 3이더라도 환자나 주치의가 원하는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초음파에서 잘 보이는 석회화의 경우에도 CNB 를 시행할 수 있다.

② 시술방법

환자를 앙와위 혹은 베개를 고정하여 약간 비스듬히 누운 상태에서 검사한다.

병소가 있는 쪽의 팔은 머리위로 올려 , 피부가 당겨지고 유방 두께가 좀더 얇아지면 시술이 편하다.

피부마취는 보통 탐촉자로부터 1~2 cm 떨어진 곳에 하여 바늘이 들어가나, 병소의 깊이에 따라 다르다.

병소가 깊이 있는 경우 흉벽과 평행하게 바늘이 들어가기 위해 좀 더 먼곳에서 바늘이 들어가야 한다.

생검침이 들어가게 되면 실시간으로 초음파를 보면서 바늘은 병소의 가장자리에 놓이게 한다.

생검침이 병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흉벽과 평행하여 발사가 안전하다고 생각되면 생검총을 발사한다.

반자동의 경우 병소의 입구에서 먼저 안쪽 바늘을 전진시킨후 홈이 병소내에 위치함을 확인 후 발사한다.

병소가 깊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흉벽과 가까이 있는 병소의 경우 병소와 흉벽사이에 마취제를 주사하여 간격을 볼려 시행할 수 있다.

시술 후 시술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이 된 것을 확인후 소독을 하고 반창고를 붙인다.

하루 정도 탄력붕대를 감으면 도움이 된다.

③ 결과해석과 추적

영상-병리소견의 연관을 따져야한다.

병리 결과는 악성 병소 , 고위험 병소, 양성병소로 나눌 수 있다.

고위험병소에는 비정형관증식, 엽상종양, 방사형반흔, 비정형소엽증식, 소엽상피내암, 유두종 등이 있다.

고위험 병소는 추가적인 절제를 권고한다.

영상 병리소견이 불일치 할 경우 즉각적인 재생검을 시행한다.

양성 병소의 경우 추적검사는 6개월에서 1년 사이로 추적관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