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기능 저하증 - 역학 및 빈도 2019-10-18

https://blog.naver.com/gogngs/221681504989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여자에게서 흔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빈도가 높다.

갑상선호르몬 내성 증후군에 의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매우 드물다.

중추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또한 드물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95% 이상이 일차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다.

일차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원인 중 70~85%는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에 의한다.

기타 다른 원인으로는 일차성 점액부종, 무통성 갑상선염( 산후 갑상선염) 에 의한 일과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그레이브스병 치료후 , 갑상선 종양 수술 후 등이 있다.

여자에서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빈도는 1년에 인구 1000명당 4.1명 , (남자는 0.6명)

혈청 TSH 가 증가하고 자가 항체가 양성 이었던 예들은 매년 4.3%에서 뚜렷한 갑상선기능 저하증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혈청 TSH만 증가한 경우는 매년 2.6%

자가항체만 양성인 경우에는 매년 2.1%  가 뚜렷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발전 하였다. 

20년후 이 세 그룹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는 각각 55% , 33% 및 27% 인데 비해

처음에 혈청 TSH가 정상이면서 자가 항체가 음성이었던 예들에서는 4%만이 갑상선기능 저하증을 보였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처음 TSH 치가 2uU/ml 이상인 경우에 자가 항제 유무에 무관하게 높았다.

또한 항마이크로좀 항체의 역가가 높은 경우에도 높았다.

임상증상이 뚜렷한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유병률은 1~2% 정도

전 인구의 약 5%에서 항마이크로좀 항체가 양성이며

TSH만 증가한 무증상 갑상선기능 저하증 ( subclinical hypothyroidism )의 유병률도 5~10% 정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