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경화선증 2021-10-22

https://blog.naver.com/gogngs/222544818729 

 

경화선증은 선증 가운데 가증 흔히 관찰되는 유형이다.

저배율에서 관찰하면 소엽중심성 분포를 보이고 비교적 경계가 분명한 증식성병변으로 세엽 , 관, 그리고 간질이 동시에 증식하여 소엽이 팽창되고 뒤틀린 형태로 나타난다.

관구조는 눌리고 찌그러져 내강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소수에서 내강이 유지되어 있다.

선 및 관 구조는 근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는데 근상피세포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드불게 증식이 우세하여 방추세포병변처럼 보이기도 한다.

내강에는 분비물이 존재하거나 석회화가 흔히 관찰된다.

상피세포는 입방형이거나 위축되어 납작하게 보이고 아프크린화생을 보이기도 한다.

경화선증은 진단 당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방촬영술에서 미세석회화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수의 소엽을 침범하여 서로 융합되면서 경계가 불분명한 종괴를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선증종양( adenosis tumor )또는 결절선증(nodular adenosis )이라고 한다.

경화선증은 간질의 섬유화로 인해 세엽이 변형되고 , 드물지만 신경주위 침윤을 보일 수 있으므로 침윤성 암종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중요한 차이점은 경화선증은 저배율에서 소엽중심성 분포를 유지하고 있으며, 선구조는 근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다.

근상피세포층의 존재는 calponin , smooth muscle myosin heavy chain , p63 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경화선증의 상피세포는 다양한 정도의 증식을 보이며, ADH, DCIS , 또는 ,LCIS가 발생할 수 있다.

상피내암종이 동반되면 증식된 종양세포들이 섬유성 간질을 배경으로 작은 군집, 선 구조 또는 띠모양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침생검과 같은 제한된 검체에서 침윤성 암종과의 감별이 어렵다.이때 근상피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경화선증 환자에서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해 약 1.5~2 배로 알려져 있다.

이는 비정형이 없는 다른 증식성 병변에서의 위험도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