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바늘위치결정술에 따른 절제술 2021-07-13

https://blog.naver.com/gogngs/222430018717 




수술 전 영상 유도 바늘위치결정술은 정상유방조직의 절제를 최소화하면서도 병소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완전히 적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바늘위치결정술은 확실한 바늘의 위치가 정해지고 , 정확한 위치를 절제하여 조직을 분석할 수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학과 , 외과 , 병리과의사의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

병리학적 검사상 이 병소들의 15~30% 만이 유방암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생검 대상의 대부분인 양성 질환이 있는 환자를 염두에 두고 병소를 포함한 최소한의 유방조직만을 절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확하고 안전하며 실패율이 적은 위치결정방법이 필요하다.

①적응증

유방촬영술에서 보이는 악성을 시사하는 석회화 병소 ,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결절형의 유방종괴, 별모양의 유방종괴, 비정상적인 형태나 증가된 음영, 추적관찰상 점차 자라는 종괴 등이다.

이중에 미세석회화가 가장 흔하다.

②시술방법

내외사위촬영술 , 상하촬영술, 90˚측면촬영술을 먼저 시행하여 병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수술 전 바늘위치결정술은 단순주사바늘 삽입, 병소 부위 색소 주입, 바늘과 유구강선 또는 가역성 만곡 강선 삽입 등의 방법이 있으며, 바늘과 강선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순주사바늘법은 의심되는 유방 내에 가는 주사바늘을 꽃은 후에 유방촬영술로 위치가 정확한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단순 주사바늘을 통해 색소 또는 챠콜을 주입할 수 있다.

단점은 주사바늘의 위치가 변히기 쉽고 대흉근을 찌르거나 빠질 수 있다는 점

장점은 가격이 싸다.

유구강선이나 가역성 만곡강선삽입법은 유방촬영 영상에 나타난 병소 부위에, 중양에 구멍이 있는 압박판을 위치시켜 사진을 촬영한 후 , 사진에 나타난 병소의 위치를 압박판 중앙에 있는 사각형의 창에 표시된 누금을 기준으로 파악하여 천자부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시술 방향은 병소의 위치에따라 피부에서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정한다.

기구의 삽입은 보통 유방의 상하 방향으로 시행한다.

천자 부위가 결정되면 강선을 바늘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늘을 전진시킨 후 목표 부위에 이르면 바늘을 1~3 cm 후진시켜 강선의 끝 부위가 병소 부위에서 자신의 모습대로 구부러지게 한다.

주사바늘의 끝이 병소를 통과해서 고정되도록 주의한다.

강선의 정확한 위치는 유방촬영을 시행하여 확인하며 판독지에 병소와 강선의 위치관계를 자세히 기록한다.

강선이 환자의 몸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후 환자는 수술실로 이동한다.

병소의 바로 상방의 피부를 절개하여 강선의 끝부분과 조직을 함께 적출한다.

③합병증

혈관미주신경반사, 출혈 , 국소마취약으로 인한 알레르기반응

기흉이 생길 수 있다.

④바늘 위치결정술에 따른 절제술 후 표본 방사선촬영

 

 

절제된 조직은 반드시 표본 방사서촬영을 시행하여 목표물과 함께 삽입한 강선이 모두 제거되었음을 확인해야 한다.

표본 방사선촬영을 할 때는 위치 표시가 가능하게 좌표가 있는 패들을 이용해 촬영하며 조직 내에 석회솨 소견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 필요하면 직각으로 다시 촬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