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산부 갑상선기능저하증 3 2020-12-18

https://blog.naver.com/gogngs/222177759738

 

 

 

6. 치료

요오드 섭취가 충분한 경우 , 산모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치료는 T4 투여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산모는 임신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보다 더 많은 양의 T4 보충이 필요하다.

임신 전부터 T4 를 복용하던 산모는 임신 전에 복용하던 용량 보다 30~50% 의 증량이 필요하다.

T4  용량이 증가하는 이유로는 가. 에스트로겐 증가에 의한 TBG 의 증가 , 나. 요오드의 신청소율 증가와 갑상선호르몬의 distribution volume 증가 다. 모체 T4 의 태반 통과 및 대사 증가를 들 수 있다.

임신 중에 처음으로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진단된 경우

T4 를 1일 1.8~2.0ug/kg 투여한다.

진단 당시 혈청 TSH 가 10uU/ml 이하인 경우에는 T4를 1일 0.1mg  투여한다.

임신 전부터 T4 를 투여 중인 환자는 임신 초기 ( 임신 5주) 부터 T4 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TSH 와 유리 T4 를 측정하면서 T4 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방사성 요오드나 갑상선전절제술로 갑상선을 완전히 제거 시킨 경우에는 약 45~50%  정도 증가가 필요하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 저하증인 경우에는 약 25% 의 증가가 필요하다.

무증상 갑상선기능 저하증으로 치료하던 경우에는 용량 증가가 필요 없다.

단순한 방법 : T4 증량을 최초의 TSH 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

TSH 가 5~10uU/ml --> 1일 T4 용량을 평균 25~50 ug 증량

TSH 가 10~20 uU/ml --> 50~75 ug 증량

TSH 20 uU /ml 이상 --> 75~100 ug  증가 시킨다.

치료를 시작한 후 1달 이내에 혈청 유리 T4 와 TSH를 측정한다. 

치료 목표는 임신중 혈청 유리 T4  and TSH 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치료 시작후 갑상선기능이 안정화 되면 6~8주 간격으로 추적해야 한다.

출산 후 모든 환자는 임신 중 복용하던 T4 를 출산 4주에 걸쳐서 감량한다.

갑상선 자가면역이 있는 환자는 산후 갑상선염의 발병 위험이 있고 , 이 증후군은 임신 전 후의 갑상선기능에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출산 후 적어도 6 개월까지는 갑상선기능을 추적 관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