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비정형소엽증식증 2022-05-31

https://blog.naver.com/gogngs/222753543244 

 

소엽신생물(lobular neoplasm ) 은 비정형소엽증식증에서부터 소엽상피내암에 이르기까지 소엽병소 전체를 가리킨다.

비정형소엽증식증과 소엽상피내암의 병리학적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에 소엽 신생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소엽신생물이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작은 균질세포군과 고형 폐쇄 성향의 비교적 엉성하게 짜인 세포의 성장소견을 보인다.

침범된 소실은 확장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며, 하나 이상의 종물유선관-소엽단위를 침범하는데 일부는 유관 부분까지 자리나기도 한다.

또한 유관 내 증식성 병소는 주 유선관, 말단 유선관, 종말유선관-소엽단위에서 발생한다.

소엽종양의 분류(소엽신생물)

소엽종양 1: 균질세포의 부분 또는 완전 소엽 침범병소로 소실 내 세포의 충문은 있으나 소실의 확장이 없는 경계가 불분명한 병소소견을 보인다.

소엽종양 2 : 소실의 일부 또는 전체가 충만된 세포로 확장되어 있으나 윤곽은 확실하고 소실 내 잔류 내강이 존재하며 소엽기질조직을 밀고 있다.

소엽종양 3 :

1형 : 세포들은 이형성 증가를 보이고 , 소실은 확장이 심해 기질조직이 거의 없이 소실끼리 뭉쳐 있는 소견을 보인다.

2형 : 다양한 반지세포가 보인다( 소실의 현저한 확장은 양성 또는 음성)

비정형소엽증식증은 소엽상피내암의 진단 기준을 부분적으로 만족하는 경우에 진단되며, 종말유선관-소엽단위에서 소실 내에 소엽상피내암세포가 절반 이하로 존재하는 경우를 비형형소엽증식증이라고 진단한다.

비정형소엽증식의 세포모양은 균일하고 둥근 모습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종말유선관- 소엽단위의 절반 이하가 이러한 세포로 채워져 있으며, 종말유선관-소엽단위구조가 심하게 변형되어 있지는 않다.

만약 일부 종말유선관-소엽단위 소견이 소엽상피내암의 진단기준에 만족한다면 진단은 소엽상피내암이 된다.

비정형소엽증식의 세포는 유관을 침범하여 소엽상피내암의 조직학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비정형소엽증식증 환자의 후발암 위험은 4배 이상이고 소엽상피내암 환자는 10배의 위험을 나타낸다.

비정형소엽증식증은 양성 유방 질환 조직검사의 1% 미만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폐경 전후 여성에서 발견된다.

비정형소엽증식증은 눈에 띄는 자신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고 대체로 조직검사에서 우현히 발견된다.

비정형관상피증식과 같이 비정형소엽증식증은 가족성 유방암 환자에서 많이 발견되며 직계가족의 유방암 가족력과 비정형소엽증식증이 동시에 존재하는 환자의 후발암 위험은 비정형소엽증식증만 진단된 환자의 후발암 위험보다 두 배 더 높다.

양성 유방 병소에서 유방 생검 후 비정형소엽증식증이 발견되어 수술적 제거를 한 경우 최종 조직검사에서 유방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0~67%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가 있어 유방암을 놓치지 않기 위해 비정형소엽증식증이 발견되면 수술적 제거가 고려되어야 한다.

비정형증식증이 다형성을 갖고 있거나 영상학적으로 종괴 또는 의심되는 석회화가 발견되는 경우 절제를 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우연히 발견된 비정형소엽증식증에 대한 수술적 제거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