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골전이 2023-01-06

https://blog.naver.com/gogngs/222976644795 

 

 

골전이

유방암의 가장 흔한 전이 부위는 뼈 로 46%에서 뼈전이가 있었다.

골전이는 심한 통증을 동반하고

체중이 실리는 부위에 병적 골절을 발생시키고 , 고 칼슘혈증을 야기한다.

골전이는 골용해성과 골형성성으로 나누어진다

골용해성은 암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PTHrP(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가 파골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인한다.

골형성성은 골형성을 자극하는 암세포 유래인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적으로 골전이는 주로 골용해성 병소이다.

유방암의 골전이 환자에서는 PHTrP의 높은 발현을 보인다.

암세포에 의해 활성화된 파골세포는 골파괴를 일으키고 , 골파괴는 다시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인자를 분비하는 악순환을 하게된다.

RANK(receptor activator of NFkB) 하향신호전달 체계와 골병변을 조절하는 기전을 이해하면 골파괴를 예방하고 뼈 재생과 전이 종양세포를 없애는 방법까지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