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절제생검 2021-07-02

https://blog.naver.com/gogngs/222417629732 

 

 

 

절제생검은 병소를 주위 조직과 함께 또는 병소만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

세침검사나 중심부침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경우 , 영상진단과 조직검사 결과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 , 또는 세포검사 나 중심부 침생검에서 비정형세포나 유두상 병변이 나올 경우에는 절제생검을 시행하여 더욱 확실한 진단을 얻는다.

양성종양인 경우에는 완전한 치료방법 이다.

1) 절제생검의 기법

절제 생검은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 국소마취로 가능하다.

종양이 유방의 심부에 있거나 , 국소마취제에 부작용이 있는 경우 , 또 시술이 한 시간 이상 경과할 경우에는 전신마취를 한다.

피부 절개는 미용을 고려해서 시행해야 하지만 , 나중에 암으로 확인될 경우 암수술을 위한 피부절개를 고려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상부 유방의 피부를 절개할 때 랑게르선을 따라 절개하는 것이 미용상 가장 좋다.

흉골 주위의 줄개는 비후성 반흔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유방의 중앙부 또는 상부에 발생한 병변에 대해서는 병변이 있는 부위에 가로곡선으로 절개하는 것이 좋다.

하부 유방에 위치하는 병소는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것이 좋다 . 왜냐하면 하부 유방에서 랑게르선을 땨라 절개하면 병소가 큰 경우에는 미용상 보기 흉해지는데 , 이는 피부와 조직을 함께 들어내면 유두, 유륜부와 유방 하부 경계선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생검할때는 전기 소작기보다는 메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로 인한 조직손상은 병리조직학적 판단을 어렵게 하며, 특히 절제면을 조직학적으로 판독할 때 어려움을 줄 수 있고, 에스트로겐수용체 단백의 변성을 초래하여 원래보다 수치가 낮게 측정되거나 음성으로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리 도중에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전기소작을 사용해도 된다.

절제생검을 할 때 병소 주위의 정상 조직을 포함하여 제거했다면 제거된 조직의 위치 및 방향을 정확히 표시해 두는 것이 좋다.

표시방법은 각기 다른 색깔의 색소를 칠해서 병리학자들이 알 수 있도록 상부, 하부 ,배부, 복부, 안쪽, 바깥쪽 부위에 표시를 해 두어야 한다.

지혈을 끝낸 후에는 일반적으로 배출관 없이 창상 봉합을 하면된다.

생검 후에 생긴 빈 공간은 피부 봉합만으로도 미용상 좋은 결과가 나타나며 , 공간이 큰 경우에는 피부함몰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위 실질 조직을 이동시켜 봉합하는 것이 좋다.

임신 중 종괴가 발견되는 경우에도 절제 생검을 시행할 수 있다

임신 중에는 유방의 혈관이 발달되므로 세심하게 지혈을 하여야 한다.

드물게 모유누공이 발생하여 보유배액이 2~3 주간 지속되기도 한다.

유방에 인공보조물을 삽입한 경우에는 메스대신 전기소작기를 사용하는 것이 삽입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