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변화 2021-03-30

https://blog.naver.com/gogngs/222292540268

 

 

 

월경 주기에 따른 정상 유방의 변화는 상피조지과 기질조직 모두에서 관찰된다.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 수준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된다.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조직학적 변화 구분

증식기

여포기

황체기

분비기

월경기

여포기: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영향 아래서 난소의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면 유방의 상피 세포의 증식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시기에 유방의 상피 세포의 유사 분열이 증가하고 핵은 단단해지며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 등은 크기와 수가 증가한다.

황체기 :

에스트로겐 분비의 두번찌 peak가 일어나며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유관은 확장되고, 소엽의 상피 세포는 분비 능력을 가진 세포드로 분화 한다

분비기 :

소엽과 유관들의 크기가 커지고 기질조직은 붓고 성기어지며 기저세포의 basal cell 공포화가 나타난다.

월경기 :

월경기 직전 세포의 유사 분열은 최고조에 이르며 섬유모세포와 림프구 형질구 등이 기질조직에 나타난다.

호르몬에 대한 세포 변화는 세포내의 스테로이드 소용체나 세포막의 단백질 수용체를 통해 매개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느 에스트로 미 프로게스테론에 결합하는 스테로이 수용체와 프로락틴의 활동을 매개하는 세포막의 수용체등이 대표적이다.

증가된 에스트로겐의 분비는 유방 조직에서 히스타민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미세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데 이를 통해 유방의 용적이 대략 15~30cm3 정도 증가하느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 전 유방의 팽대와 통증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 증가에 따른 소엽과 유관의 증식 및 기질 조직의 부종 때문이며 월경 시작과 함께 성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함에 따라 부종 및 유선 조직의 위축이 나타나며 생리 시작 후 5~7일 정도에 유방의 용적은 가장 작아지게 된다.

월경 주기 내에서의 유선 세포 증식과 자연사 모두 월경 주기의 마지막에 정점에 다다른다.

세포 증식은 25일경에 최고조에 이르고 자연사는 28일경에 최고조에 이른다. 두 현상에 3일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출산력이나 경구용 피임약 등의 사용과는 무관하다.

월경 주기 내에서의 유선 조직의 변화는 나이가 젊은 여성일수록 뚜렷하며 30대 중반 이후 주기적 변화가 둔화되는데 특히 세포의 자연사 과정이 더 뚜렷하게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