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 기능 검사 대상 2019-04-02

https://blog.naver.com/gogngs/221503569311

 

 

1. 갑상선기능 장애에 대한 스크리닝

ㄱ. 일차 스크리닝 방법

일차적으로  가장 예민한 검사인 TSH  측정을 시행한다. 

뇌하수체 -갑상선 축이 불안정하거나 비정상적인 경우 TSH 만 측정만으로는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free T4 와  T3 를 함께 측정한다.

ㄴ. 갑상선 기능검사를 필요로 하는 대상

- 신생아에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스크리닝

- 갑상선종 및 갑상선 결절이 있는 경우

-심방세동 , 지질이상 , 골다공증 , 불임환자

- 제 1형 당뇨병 여자 환자

- 갑상선 기능장애의 빈도가 높은 경우

%갑상선 기능장애의 빈도가 높은 경우

   갑상선질환의 병력 , 갑상선 수술 병력

   갑상선종이 있는 경우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환자

   당뇨병

   산후 갑상선기능 장애의 병력

   Down'syndrome

   두경부에 방사선 조사를 받은 병력

   인후/후두 수술 병력

   최근에 진단되 쿠싱 증후군

   약제 사용 (amiodarone , lithium , IF 알파, IF 베타 IL-2, 항생제사용)

   뇌하수체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심한 뇌손상

   조산아: 저체중이 심한경우

2.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갑상선 기능을 감시해야하는 경우

ㄱ. 산후 갑상선염의 과거력

    - 다음임신시 재발 위험이 높다.

    - 영구적인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위험이 높다.

ㄴ. 당뇨병 환자

    -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무증상 갑상선 기능 장애의 빈도가 높다.  매년 검사 시행

    -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진단 당시 갑상선 기능검사 시행 , 매년 권하지는 않는다.

ㄷ. 다운 증후군과 터너 증후군

    -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빈도가 높다.

ㄹ. 아미오다론 과 리치움을 복용하는 환자

    - 아미오다론 복용하는 환자 : 치료시작전, 치료중 매6개월 마다 , 치료 종료후 12개월까지 갑상선 기능검사 시행한다.

    - 리치움을 복용하는 환자 : 치료시작전 및 치료중 매 6~12 개월 마다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한다.

ㅁ.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로 방사성 요오드 또는 수술을 받은 환자

    - 치료후 4~8주에 시행, 이후 1년까지 매 3개월 마다 , 다음에는 매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