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광명 유방클리닉] 체중감량 운동 - 두 번째 이야기 2017-12-02

지난번에 이어 이번 포스팅부터는 "운동, 신체활동과 비만에 대한 연구"에 대해 정리된 내용이 이어집니다.

1. 운동이 체중감량에 효과적일까?

운동 또는 신체활동이 체중조절에 중요함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식사조절에 비해 운동은 체중감량 효과가 작다.

식사 감량, 운동, 식사와 운동 병행 3군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식사와 운동 병행 군에서 체중감량 효과가 가장 좋다. 평소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하지 않는 경우보다 좀 더 체력이 좋다. 체력이 좋은 사람들은 나쁜 사람들에 비해 체중이 더 적게 나간다. 따라서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한다.


칼로리 제한 없이 유산소운동만 시행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에 의하면 6개월 유산소운동으로 체중 1.6 kg이 감소하였고, 12개월 유산소운동으로 1.7 kg이 감소하였다. 과체중 갱년기 여성 대상 12개월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 45분씩 주 5회 운동을 첫 3개월간 주 3회 감독 하에 운동하고, 그 후 주 1회 감독 하 운동을 포함한 경우에 1년 후 운동군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지방량, 지방률 감소가 입증되었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에어로빅, 자전거 등이었고, 대조군은 스트레칭만 시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식사조절 없이 6-12개월간 구조화 유산소운동으로 체중 2-3% 감소가 가능하다. 유산소운동만으로 체중의 3-5%를 감량하려면 더 많은 운동량이 요구된다. 한 연구에서 고강도로 하루 600칼로리를 소모하는 운동을 4개월 시행 후 체중 3-5% 감량 목표가 달성되었다.
5,741개 문헌 중 19개를 분석한 메타분석은 66.7-71.1세 405명을 대상으로 6-18개월 시행한 연구였다. 생활습관 교정 군에서 체중감량은 0.5-10.7 kg (0.1-9.3%)이었고, 신체기능(6MWT, Western Ontario McMaster Arthritis Index, Functional Status Questionnaire)과 삶의 질 증가가 있었다. 운동만 시행한 군보다, 식사만 시행한 군에서 체중이 더 줄어들었다. 운동만 하는 경우 신체기능은 좋아지는데 유의한 체중감량은 없었다. 운동과 식사를 병합하면 신체기능이 매우 향상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고 근육이나 뼈 감소를 예방하였다.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는 효과는 식사조절보다 운동이 더 효과적이다. 장기간 연구에서 체중 감량 후 운동지속군이 운동중단군보다 체중 재증가 효과가 작았다. 체중을 줄일 때 운동과 식사조절을 하면 초기에는 수분 함량이 줄어들면서 감량 속도가 높았다가 점차 속도가 줄고 정체되는 경향을 보인다. 지속적으로 운동과 식사조절을 시행하면 체중이 감소한 후 유지가 되는데, 체중 감소에는 식사조절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유지에는 운동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결론은 : 운동과 식이조절을 병행하는 것이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다.


2. 어떤 운동이 체중감량에 더 효과적일까?

유산소운동과 식사조절은 모두 내장지방을 감소시켰는데, 체중 감소에는 운동보다 식사조절이 더 효과적인 반면 내장지방 감소는 운동이 식사조절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체중감량과 내장지방 감소 관련성은 식사요법에서 강력하였고 운동요법에서 중간 정도이었다.
운동은 체중 감소 없이 내장지방을 6.1% 감소시키는데, 식사조절에서는 체중 감소 없는 내장지방 감소는 없었다. 또 체중이 5% 감소되는 경우에는 운동요법의 경우 내장지방이 21.3% 감소되었는데 식사조절로는 내장지방이 13.4% 감소하였다. 유산소운동이 내장지방 감소에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근력운동은 체중 감소 효과가 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인슐린 감수성을 올리고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또 제지방을 증가시키고 근력을 강화시키며 체지방을 낮춘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제지방이 감소하므로, 근력운동으로 지방이 제지방으로 전환되면 에너지를 더 소모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근력운동은 지방량을 감소시키고 제지방량을 유지 증가시키며, 건강 상태를 더 개선하여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을 개선시킨다.

어떤 운동이 체중감소에 가장 좋을까에 대한 정답은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약한 운동인 걷기도 체중조절에 유효할까? 걷기는 건강에 유익하고 어느 정도 체중감량(1.5% 이하)을 가져온다. 최대산소섭취량, 삶의 질, 6분 걷기 거리를 개선시키고 혈압, 맥박수, 체지방,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우울 점수를 하강시키므로 우리에게 유익하다. 걷기의 체중감소 효과가 크지 않은 만큼, 걷기를 체중감량의 수단으로 이용하려면 좀 더 오래 지속하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