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양성 질환 : 섬유선종 (fibroadenoma) 2017-12-22

섬유선종은 유방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 종양
20세부터 50세 사이의 여성에 흔하며 대개 20대 초반에 많이 발견됨.
호발 부위는 오른쪽이 약간 더 많음.
월경 전 유방통이 있거나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에서 섬유선종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임.
인종에 따라 발생빈도나 나이에 차이는 없음.
재발도 많다

원인

섬유선종의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함.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도 생각됨.
섬유선종은 임신 기간과 수유 기간 중에는 커지는 경향이 있음.
폐경 후에는 정상 섬유선 유방조직과 함께 퇴축함.
에스트로겐 만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는 폐경기환자들에서 섬유선종은 주위의 유방실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음.
섬유선종의 빈도와 성장률은 내복피임약에는 영향을 받지 않음.

증상

섬유선종은 보통 단발성 종괴(10~15% 정도에서 다발성 또는 양측성)로 환자 자신이 발견하는 경우가 많음.
대개 직경이 1~2cm이며 단발성임.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보임.
압통이 없고 경계가 명확하면서 유동성이 있음.

진단

임상적인 진찰만으로도 진단을 내릴 수도 있으나, 임상적인 진찰만으로 내린 진단의 27~50%가 부정확함.
유방 촬영, 유방 초음파를 같이 시행하며 크기가 큰 경우나 암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함. 

검사

유방촬영상 경계가 좋고 둥근 결절 소견을 보이며 내부에 석회화(팝콘 모양)을 보이기도 함.

유방 초음파상 부드러운 난원형 종괴로 내부의 에코는 중등도나 저에코로 균등한 소견을 보임.
종괴 주위는 경계벽이 얇고 균일함.
후면의 에코 증강 소견이 보이고, 양측성 음영 차단의 소견(올챙이 꼬리 모양, tadpole sign), 종괴 내부에 고에코 횡선 음영(보리알 모습)을 보임.

섬유선종 종단면, 횡단면 영상


조직학적 진단으로 절제 생검(수술), VAB(맘모톰),중심생검,  등이 있다.

치료

크기가 작은 경우 6개월 간격으로 추적관찰
크기가 큰 경우 제거함. 환자가 원하는 경우 제거함.
복합성 섬유선종(complex fibroadenomas) , 청소년형 섬유선종(Juvenile fibroadenomas), 거대 섬유선종(Giant fibroadenomas) 은 제거한다.

방법
- 절제생검(수술) - 수술 흉터가 크다.
- VAB (맘모톰) - 흉터가 3mm로 작다.

경과/합병증

대개 크기가 커지며, 오래되면 엽상 낭육종(Cystosarcoma phylloides)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