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과 면역반응 - 임상적 증거 2023-02-14

https://blog.naver.com/gogngs/223015305704 

 

 

면역력이 유방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임상적 증거로는,

면역력이 약해진 환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생률과 더 심한 질병 양상을 보이는 점과,

면역반응이 강한 환자들에서 예후가 좋다는 보고 등이 있다.

유방암 진행상태와 관련된 면역기능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는 면역억제상태의 두 단계를 구분하고 있다.

초기 유방암과 관련된 첫 번째 면역억제상태는 일차적이며 환자와 연관되어 있다.

두 번째는 종양에 의해 유도된 면역반응억제이며 진행된 전이유방암의 특징이다.

이러한 두 단계에서 MHC class I 분자와 , class II 분자의 발현조절이 관찰되며 , 이들 분자의 발현 정도는 종양살해세포와 조력 T세포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세전이성 유방암세포에서 MHC class I 분자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고 , 이 경우 높은 골수 전이빈도와 연관되어 있다.

유방암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면역억제는 종양항원 처리와 제시과정의 결함으로 인해 T세포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로 다른 암에서와 동일하다.

이러한 억제 현상을 뒷받침하는 것이 양성이나 국소유방암 환자에 비해 전이유방암 환자의 표피에는 효과적인 항원제시세포인 랑게르한스세포 수가 감소되어 있다.

실제 유방암 항원이나 mitogen에 대한 T세포 반응의 결손은 T세포 기능보다는 가지세포의 항원 제시에 결함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상 가지세포와 환자 T세포 간의 동종항원으로 자극했을 때는 정상 T세포반응을 보인 반면, 유방암 환자로부터 분리된 가지세포로 자극했을 때는 현저히 감소되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