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그레이브스병 치료 - 방사성요오드요법 3 2019-08-06

https://blog.naver.com/gogngs/221607403755

 

 

4. 합병증

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방사성 요오드 치료의 가장 흔한 부작용이다.

발생 빈도는 I-131 을 투여한 양과 횟수 및 개인 차에 의해 결정된다.

갑상선 무게당 51~75 uCi  투여한 경우 처음 1년의 발생 빈도 6~10 % , 151~175 uCi  투여한 경우 20% 이상으로 높다. 하지만 이후부터는 투여량에 관계 없이 매년 2~3% 씩 증가한다.

치료후 첫 2~3 개월에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나타날 때는 환자가 견딜수 있으면 T4  투여를 1~2 개월 미루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2개월 이상 지속되면 영구적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T4 치료를 해야한다.

나. 부갑상선 기능장애

전형적인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는 극히 드물다.

무증상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비교적 흔하다.

약 10~40% 의 환자에서 저칼슘혈증에 대한 부갑상선 반응이 둔화되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다. 암의 발생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의 백혈병 발생 빈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다. 즉 I-131 치료 자체로 백혈병이 유발 되지 않는다.

갑상선에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갑상선암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하지만 I-131 을 투여한 환자에서 갑상선암의 발생 빈도는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 이유는 세포가 완전히 파괴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라. 유전적 영향

I-131 로 치료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의 후손에서 유전장애가 정상인 보다 많다는 증거는 현재까지 없다.

요오드는 태반을 통과하고 젖으로 분비되므로 임신 및 수유 중에는 방사성요오드 투여는 금기 사항이다.

방사성 요오드 투여 후 적어도 6개월은 피임하도록 한다.

임심 중에 부주위로 방사성 요오드를 투여한 경우

임신 초기 (12주 이전에는 ) 태아의 갑상선이 요오드를 섭취하지 못하므로 실제 영향이 없다 ,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임신 중절을 권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심리적 요인 때문에 실제로는 많은 환자에서 중절을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