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기능 저하증 임상증상 6 2019-11-15

https://blog.naver.com/gogngs/221708589470

 

 

6. 혈액

빈혈 :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의 약 1/3에서 나타난다.

조직의 산소 요구량이 감소되고, 따라서 적혈구조혈인자 생산이 감소하여 빈혈이 나타난다.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정적혈구 정색소성 빈혈) 를 보인다.

골수는 전반적으로 저형성을 나타낸다.

갑상선 호르몬 투여로 서서히 회복된다.

hypochromic microcytic anemia(저색소성 소구성 빈혈)  가 약 2~15% 에서 나타난다. 이는 주로 철결핍에 의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에서 철 흡수 장애및 실혈의 빈도가 높아 철결핍의 위험이 높다.

월경 과다에 의한 만성 실혈의 가능성이 높다.

장점막의 부종과 함께 위산 분비 감소로 철 흡수 장애가 잘 나타난다.

가장 흔한 적혈구 모양의 변화는 대적혈구증 - 38%까지 보고되고 있다.

대구성 빈혈은 갑상선 호르몬 결핍 자체 때문에 혹은 비타민 B12 및 엽산 결핍에 따른 이차적 결과로 나타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대부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결과로 나타나므로 악성빈혈등 다른 자가면역성 질환과 자주 동반된다.

백혈구나 혈소판 수에는 영향이 없다.

혈소판 기능에는 정성적인 결손을 초래하여 출혈성 경향을 높인다.

혈액응고인자들의 결핍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임상적 의의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