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신 중의 갑상선종 2020-10-27

https://blog.naver.com/gogngs/222128130707

 

 

임신 중에 갑상선종이 종종 관찰되는데 , 그 조직학적 소견은 갑상선 자극에 의한 증식의 특성을 보인다.

임신 중 관찰되는 갑상선종의 빈도는 요오드섭취량의 차이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요오드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서는 임신 중에 갑상선 용적이 평균 20~35% 증가하고, 임산부의 약 10%에서 갑상선종이 관찰된다.

임신 중의 요오드섭취량은 태아 및 신생아의 갑상선 용적에도 영향을 미친다.

임신 중에 요오드를 공급 받은 산모에서 태어나는 아이에 비해 요오드 공급이 없었던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갑상선 용적은 평균 40% 더 크다.

요오드 섭취량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임산부와 정상인 사이에 갑상선종의 빈도에 차이가 없다.

임신 중에 갑상선 용적을 초음파로 측정해보면 임신 말기에 갑상선 용적이 증가하는데 , 그 정도는 요오드섭취량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요오드섭취량이 부족한 덴마크에서는 갑상선 용적이 평균 30% 증가된다

미국이나 우리나라 같이 요오드 섭취량이 비교적 충분한 지역에서는 13% 증가에 불과하다.

임신 중에 생성된 갑상선종의 운명을 살펴보면 출산 후 일부에서만 부분적으로 위축된다.

따라서 갑상선종과 갑상선질환이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흔한 이유를 설명하는데 임신 자체가 중요한 환경인자가 된다.

갑상선 용적의 증가는 혈청 Tg 상승과 비례하며,  T3 /T4 비의 증가와도 비례하여 갑상선 자극에 의한 증식의 결과로 해석된다.

임신 중 갑상선 용적의 증가는 혈류량의 증가, 요오드섭취량, 갑상선자극물질( 임신 초기에는 hCG , 임신 말기에는 TSH) 의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임신 전부터 있던 갑상선종도 임신 중에는 변화를 일으킨다

비독성 미만성 갑상선종인 경우 약 1/3에서 갑상선종이 커진다.

갑상선 결절은 임신 중에 그 수 및 크기가 증가하는데 , 결절의 수는 약 20% 에서 증가하고 , 결절의 크기는 약 60% 에서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