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보조요법 이득의 예측인자로서 호르몬수용체 2023-06-13

https://blog.naver.com/gogngs/223127697910 

 

 

보조요법 이득의 예측인자로서 호르몬수용체

EBCTCG(Early Breast cancer Trailist Callabolative Group)분석 결과에 따르면 ER 음성 유방암은 tamoxifen 치료의 이익이 없으나 아주 낮은 정도라도 유방암에 대한 tamoxifne치료의 효과는 명확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렇게 호르몬수용체 발현 유방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호르몬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선택이라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PR의 발현여부, ER의 발현 정도 등과 치료효과의 차이 또는 치료제의 선택 등에 대한 결론은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

오랜 동안 PR발현 양성의 소견은 ER 신호 전달계의 완전한 보존의 표지ㅏ로 인식되어 왔고, ER과 PR 두 수용체 가 모두 발현하는 경우에는 ER 양성 PR 음성 의 경우보다 tamoxifen 치료 또는 다른 호르몬 요법의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일부 후향적 관찰연구에서 PR 발현이 보조적 호르몬요법 반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무작위연구 결과 PR발현 여부에 따른 호르몬요법 반응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오히려 PR 음성 유방암에서 호르몬요법의 절대적 이익이 PR양성 유방암에서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PR음성 유방암의 예후 자체가 더 나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R의 발현 여부와 관계없이 호르몬치료의 효가가 있으며 , PR음성군에서 아로마타제억제의 우월성은 분명하지 않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PR의 소실은 성장인자 수용체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에 따른 인산화의 결과 PR이 활성화 전사인자로 역할을 하고 소멸된 결과로 밝혀지고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PR 소실은 다원적이며 , 그중 중요한 원인 한 가지는 증가된 성장인자 신호전달계다.

ER양성, PR음성 종양의 경우 ER양성 , PR양성 종양보다 3배 많게 EGFR을 발현하며, 50% 더 많이 HER2를 과발현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 EGFR과 HER2는 tamoxifen으로 치료받은 ER 양성환자군 , PR양성 환자군에서는 불량한 무병생존률과 연관이 없었으나 ER양성 환자군 , PR음성 환자군에서는 EGFR 발현과 HER2 과발현이 높은 재발 가능성과 연관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PR 음성이 내분비 치료 효과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진 성장인자 수용체 신호계와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즉 ER 양성인 유방암에서 PR 발현의 소실은 성장인자 수용체 경로 활성화의 표지자로 여겨지고 호르몬치료 저항성을 나타내는 예측 인자적 역할이 제기된다.

PR 음성 환자군에서는 같이 발현된 성장인자 수용체 신호전달계 차단을 호르몬치료와 병행하여 그 호르몬요법의 효과를 확대하고 치료저항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유방암 환자에서 안드로겐 수용체의 역할은 아직 명백히 입증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AR은 스테로이드 핵 수용체군에 속해 있어 ER이나 PR과 구조적, 기능적인 유사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에서 AR은 60~70% 이상의 유방암에서 발현된다고 보고되었는데 박 등의 연구에 따르면 ER양성 유방암의 경우 AR 양성군의 생존이 우월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또 AR 발현 정도가 높을수록 반응 예측인자라고 보고하였다.

향후 이러한 인자들을 종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불필요한 항암화학요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