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단순상피세포비정형(flat epithelial atypia ;FEA) 2021-10-14

https://blog.naver.com/gogngs/222536701026 

 

 

 

단순 상피세포 비정형 은 원주세포 변화 및 원주세포증식에서 상피세포가 저등급 비정형을 보이는 병변이다.

만약 고등급 비정형을 보이면 밀착형(clinging) DCIS 로 진단해야 한다.

FEA에서 종말관 소엽단위의 확장 및 세엽의 낭성 변화는 원주상피병변과 동일하며 ,

상피세포는 작은 언덕, 돌출 , 및 불완전한 미세유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곤봉모양의 잘 형성된 미세유두, 단단한 세포다리, 체모양의 천공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적 이상을 보인다면 ADH를 생각해야 한다.

FEA 세포의 핵은 둥글거나 난원형으로 ADH/LG-DCIS 세포와 닮았다.

원주세포병변에서는 핵이 빽빽하게 줄지어 기저막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하는 양상이 뚜렷하였으나

FEA에서는 핵의 위치가 상피층 바닥에 국한되지 않고 위로 이동하며 핵의 중첩도 심하지 않아 세포질의 경계가 관찰되기도 한다.

핵/세포질 비가 증가하여 저배율에서 호염기성으로 관찰된다.

핵염색질은 균질하게 분포하거나 응축과 변연화를 보일 수 있고, 핵소체는 분명하지 않거나 뚜렷하게 관찰되는 등 다양하게 관찰된다.

유사분열은 드물게 관찰된다.

세포질의 강내 돌출은 흔히 관찰되며 세포는 관상암종(tubular carcinoma)의 세포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

강내에는 분비물과 함께 미세석회화를 흔히 동반한다.

FEA는 소엽상피종양(ALH 또는 LCIS), ADH , LG-DCIS 및 관상암종과 같은 저등급의 침윤성 암종과 함께 잘 나타나며 , 소엽상피종양, 원주세포병변(단순 상피세포비정형 포함), 그리고 관상암종을 "Rosen tridad "라 부른다.

FEA는 원주세포병변과 함께 저등급 종양에서 관찰되는 유전적 변이인 염색체 16번 장완 소실을 흔히 동반하고 , ADH, LG-DCIS와 유사한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보인다

따라서 FEA 가 ADH의 전구병변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FEA에서 침윤성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은 ADH나 ALH에 비해 낮다.

FEA 의 유방암 발생위험도는 매우 낮다.

침생검에서 FEA가 있는 경우 추가 절제를 시해하였을 때 많게는 약 30%의 환자에서 더 심한 병변이 나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병리의사는 침생검 검체에서 연속절편을 시행하여 ADH나 DCIS를 시사하는 소견은 없는지 확인해야 하며, 영상학적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함께 고려하여 추가절제 유무를 결정해야 한다.

절제 조직에서 FEA가 관찰될 경우 연속절편을 얻거나 남은 조직을 모두 슬라이드로 제작하여 ADH나 DCIS에 해당하는 소견은 없는지 철저하게 관찰한다.

만약 FEA와 함게 DCIS가 발견되고 이 두 병변의 세포학적 소견이 동일할 때 FEA를 DCIS 크기에 포함시켜야 할지 , 그리고 절제연에 FEA가 침범된 경우 추가 절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병리의사는 반드시 ADH, DCIS, ALH, LCIS, 관상암종 등과 같이 FEA와 동반 가능성이 높은 병변이 주변에 있는지 의식하면서 진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