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산후 갑상선중독증 2020-12-08

https://blog.naver.com/gogngs/222166772045

 

 

가임 연령의 여성에서 갑상선중독증이 출산 후에 잘 나타난다.

임신 중에 억제되었던 면역현상이 출산 후에 원래대로 회복되면서 자가 면역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산후에 발생하는 갑상선중독증의 원인으로는

산후 갑상선염 ( 무통성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아급성 갑상선염

인위성 갑상선중독증 등이 있다.

산후 갑상선중독증의 원인별 감별은 세밀한 병력 청취와 진찰만으로도 가능하다.

미만성 갑상선종과 안구 돌출이 있으며 그레이브스병을 시사한다

갑상선에 동통과 압통이 있는 경우에는 아급성 갑상선염을 의심 할 수 있다.

인위성 갑상선중독증은 병력 청취로 감별이 가능하다.

산후 갑상선중독증의 가장 흔한 원인인 산후 갑상선염의 중독기와 그레이브스병의 감별은 임상소견만으로는 어렵다.

두 질환 모두 미만성 갑상선종으로 나타나고 , 그레이브스병 환자중 일부에서만 안구 돌출이 나타난다.

그레이브스병으로 치료 중 임신한 경우 경과 중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호전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가 임신 중기~말기에는 항갑사선제를 중단한다. 이런 환자에서 출산 3~6 개월 사이에 갑상선중독증 증상이 나타난 경우 기존의 그레이브스병이 재발한 것인지, 또는 산후 갑상선염이 병발한 것인지의 감별은 임상소견만으로는 어렵다.

두 질환의 감별을 위해서는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검사가 필요하다.

TSH 수용체 항체가 그레이브스병에서는 양성인 반면 산후 갑상선염에서는 음성이므로 감별에 도움이 된다.

산후 갑상선염이나 아급성 갑상선염은 치료가 필요 없다.

일부 환자에서 갑상선중독증 증상이 심하면 베타-차단제를 증상 완화 목적으로 일시 사용할 수 있다.

그레이브스병은 주로 항갑상선제로 치료한다.

수유 중인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항갑상선제를 투여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