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의 분자 아형에 따른 특징 2022-01-21

https://blog.naver.com/gogngs/222627752915 

 

 

유방암을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따라 몇 개의 분자 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내강 A, 내강 B, HER2 양성 , 기저세포양 형이다.

이들 분자 아형 사이에는 유전자 표현형 , 임상 양상 , 치료에 대한 반응, 예후에 차이가 있어 분자 아형 구별에 의미가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 프로게스테론수용체 , HER2 , Ki-67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 따라 다음 과 같이 분자 아형을 분류할 수 있다.

내강 A형과 내강 B형을 구분하는 Ki-67증식지수의 기준값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다.

내강 A형은 침윤성 유방암의 40~50%를 차지하며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에 양성 , HER2 음성이고 , Ki-67 증식능이 낮다

조직학적 등급이 낮으며 , 단순한 염색체 핵형을 보이고, 염색체 16번 장완의 소실을 특징으로 한다.

폐경 이후 여성에게 많으며 호르몬 치료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인다.

예후가 좋은 유형이지만 간혹 원격전이가 장기간 추적 후 늦게 나타나기도 한다.

내강 B형은 침윤성 유방암의 15~20%정도

에스트로겐수용체 ,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 HER2 음성 , Ki-67 증식능이 높은 군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 HER2에 모두 양성인 군을 포함한다.

이 유형의 종양은 내강 A형에 비해 프로게스테론수용체 발현율이 떨어지고, 조직학적으로 고등급에 속한다.

복잡한 염색체 핵형을 보이고, 내강 A형에 비해 CCND1과 FGFR1의 유전자 증폭이 높게 나타난다.

호르몬 치료에 반응을 보이고, 세포 증식능이 높기 때문에 항암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내강 A형에 비해서 비교적 예후가 나쁘고 뼈 전이가 흔하다.

HER2 양성 형은 침윤성 유방암의 약 15%

에스트로겐수용체 , 프로게스테론수용체에 음성이고 HER2 양성

조직학적 등급이 높고 , p53 돌연 변이가 흔하고 ,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후가 나쁘다

anthracyline 기반의 항암치료에 반응이 높고, tratuzumab 이나 laptinib 과 같은 HER2 표적치료제의 사용으로 예후가 많이 향상되었다.

내강형에 비해 간 및 폐 , 뇌 전이가 흔하다.

기저세포양/삼중음성 형은 침윤성 유방암의 10~20%

에스트로겐수용체, 프로게스테론수용체, HER2에 모두 음성

basal cytokeratin과 EGFR에 높은 발현을 보인다.

기저세포양 형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한 용어이고, 삼중음성 유방암은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이 두 개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삼중음성 유방암은 이질적인 질환의 집합체로 최근 연구 결과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따라 거제세포양 1형 , 기저세포양 2형, 면역조절형, 간엽유사형, 간엽 줄기세포 유사형, 내강 안드로겐수용체형 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젊은 여성에서 주로 발생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에서 발병율이 높다.

조직학적 등급이 높고, 높은 세포 증식능을 보인다.

유방암 줄기세포및 상피간엽전환표지자의 발현이 높게 나타난다.

BRCA1유전자의 유전자 변이와 연관이 있다

p53돌연변이가 흔하고, 복잡한 형태의 유전체 불안정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예후가 나쁘고 , 특히 5년 이내의 조기 재발이 흔하다

HER2 양성형과 마찬가지로 간 및 폐, 뇌 전이가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