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산부 갑상선기능저하증 2 2020-12-15

https://blog.naver.com/gogngs/222174510619

 

 

4.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1) 산모에 대한 영향

갑상선기능저하증 산모는 유산 , 빈혈, 임신성 고혈압, 전치태반 및 산후 출혈의 유병률이 증가한다.

적절한 치료를 하면 출산 합병증의 빈도가 낮아 진다.

2) 태아에 대한 영향

자연유산 , 출산 중 태아 곤란증, 임신 주수에 비해 저체중, 태아 사망 , 일과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등이 증가한다.

5. 모체 갑상선기능저하증과 태아 신경정신 발달

갑상선호르몬은 사람의 정상적인 뇌 발육에 필수 인자 이다.

태아나 신생아에서 갑상선호르몬의 결핍은 뇌 발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1) 태아의 갑상선 발달 , 모체 갑상선 기능 , 태아 뇌 조직 발달

태아의 갑상선호르몬 생산은 임신 중기 까지 불충분하다.

임신 초기에 관찰되는 태아 조직 안의 갑상선호르몬은 모체 갑상선호르몬이 태아에게 전달된 것이다.

수정 후 8주에 태아 뇌에는 갑상선호르몬과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존재하며 18주 까지는 그 양이 증가한다.

사람의 뇌 신경조직 발생에 미치는 갑상선호르몬 영향은 세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단계는 태아의 갑상선호르몬이 생산되기 전인 수태 후 16~20 주 때로 전적으로 모체 갑상선호르몬의 공급에 의존한다.

이 시기에는 대뇌피질, 해마, 와 내신경절융기에서 신경원의 증식과 이동에 관여한다.

두 번째 단계는 태아 갑상선에서 갑상선호르몬이 생산되는 시기부터 출산 때까지로 이 시기에는 태아 갑상선에서 생산된 T4 와 모체에서 공급된 T4  모두에 의존한다.

이 시기에는 선경원 생성과 이동 , 축삭의 성장, 수상돌기의 분지, synaptogenesis 와 더불어 교세포 분화와 이동 및 수초형성 등이 일어난다.

세 번째 단계는 출생 후로 이 시기에는 전적으로 신생아에서 생산된 갑상선호르몬에 의존한다.

이 시기에는 gliogenesis 와 수초 형성이 지속된다.

발생중인 뇌조직의 성장 속도는 임신 중기에 일차적으로 최대에 이르는데 , 주로 신경조직의 증식 , 이동 및 조직화 과정 등은 갑상선호르몬의 적절한 공급 여부에 좌우된다. 이 시기에는 주로 모체로부터 공급되는 갑상선호르몬에 의존한다.

임신 말기부터 생후 2~3년 까지 지속되는 이차 뇌 성장 시기에는 태아나 신생아의 갑상선에서 분비된 갑상선호르몬이 주공급원이 된다.

2) 모체 갑상선호르몬 결핍과 태아 신경 정신 발달

태아 뇌조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첫째 , 태아 갑상선 발달의 장애로 인한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으로 이 경우에는 모체 갑상선호르몬의 태아로의 이동은 정상이므로 전적으로 태아의 갑상선기능 장애 정도에 좌우된다.

둘째, 요오드 결핍 상태인데 , 태아와 모체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임신 중 요오드결핍의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 모체 갑상선기능 장애로 , 모체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정도와 임신 중 시기에 따라서 태아의 뇌 발육이 영향을 받는다.

가.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뇌신경 발달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적이므로 신생아에서 스크리닝을 하지 않으면 진단이 늦어진다.

출생 직후 진단되어 출생 14일 이내에 T4 보충요법을 실시한 경우 지능 발달 장애는 거의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단 과 치료가 늦어지면 신경 정신 발달의 비가역적 손상이 초래된다.

나. 요오드 결핍이 신경정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뇌 발달 시기에 요오드 공급이 결핍되면 태아 및 모체의 갑상선호르몬 부족이 나타나고, 이는 뇌 발달 , 즉 신경정신지능 발달의 비가역적 장애를 초래한다.

요오드결핍지역에서 나타나는 지방병성 크레틴은 신경형 과 점액부종형의 두 가지 임상 형으로 나타난다.

신경형 크레틴증은 심한 정신발육지연과 함께 농아증, 사시 ,및  pyradmida/extrapyramidal 징후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고 갑상선호르몬 결핍 증상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점액부종형 크레틴증은 정신발육지연 증상은 경미하고 갑상선호르몬 결핍 증상인 왜소증, 성발달지연과 점액부종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두가지형의 이러한 차이는 임신 중 요오드 결핍 시기에 의해서 좌우된다.

임신 초기 또는 적어도 중기 이전에 요오드를 충분히 공급하면 신경형 크레틴 발생이 예방된다.

다. 모체 갑상선기능 장애와 신경정신지능 발달

임신 중 모체의 갑상선기능 장애가 태아 및 신생아의 신경정신지능 발육에 영향을 미친다

증상 유부에 상관 없이 임신 중에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는 경우  아이의 지능 및 학교생활에 지장이 있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