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 전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2022-12-27

https://blog.naver.com/gogngs/222967208282 

 

 

1전이효율유전자

다양한 유전자들이 유방암 세포의 전이성 표현성을 결정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유방암세포의 전이능력에 중요한 인자들로는 성장인자(HER2/neu, EGFR), 혈관신생인자, 부착물질 , 단백분해효소 등이 있으며 이와 관련한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2. 전이억제유전자

전이억제 유전자는 원발암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이만을 억제하는 유전자이다.

이러한 전이억제는 침윤과 전이과정의 여러 단계를 조정하며, 생물학적 변화를 유도한다.

전이암종과 비전이암종 간의 체세포잡종은 종양을 유발하지만 전이는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우성 전이억제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 유전자 조절 물질

최근 miRNA(microRNA)는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조절물질로 너리 알려지게 되었다.

miRNA는 20~25개의 nucleotide로 구성된 small non-coding RNA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 중 하나이며, 사람 몸 속에도 수배개의 miRNA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RNA는 표적 mRNA와 상보적인 서열을 이루어 번역을 저해하거나 mRNA의 분해를 유도함으로써 gene silencing 을 일으킨다.

miRNA는 종양억제인자를 억제하거나 , 분화나 세포자멸을 조절하는 경로를 방해하여 종양유전자처럼 작요할 수 있다.

전이성 유방암 세포에서 mi-R10b가 높게 표현되며, mi-R10b는 유방암의 전이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Twist-1과 Rho-c유전자와 결합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