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대한 다중척도 평가 2023-06-30

https://blog.naver.com/gogngs/223143013231 

 

 

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대한 다중척도 평가

 

 

ER양성 환자들의 잔존 재발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ER 및 PR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표지자를 결합하여 다양한 예후 지표들과 분자적 인증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예후지표들과 분자적/유전적 인증들에는 ER과 관련된 유전자에서 도출된 SET호르몬치료에 대한 민감성(SET index), Adjuvant online!, genomic grading Index, IHC4, Mamma-Print® 및 Oncotype DXTM 등이 있다.

 

 

SET index 는 ER 발현과 연관하여 발현 조절되는 유전자 집단의 발현이, ER발현 단독보다 더 정확하게 호르몬치료 반응을 예측할 것이라는 원리에 근거하여, ER양성 종양에 대해  microarray gene expressing profiling 한 결과 ER 과 함께 조절되는 165개의 유전자를 확인하고  ER related genes 으로 선정하였다. 

 

SET index 는 어떠한 종류이든 호르몬요법(tamoxifen 단독 또는 함암-호르몬요법군)을 받은 환자들의 전신 재발, 생존율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호르몬 유법을 받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예후 인자로서의 가치가 없었다. 

 

이러한 특성은 호르몬 요법을 꼭 받아야하는 환자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 현존하는 임상병리적 모델에 추가적인 예측 정보를 더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몇 가지 유전자 인증들은 ER 양성 종양과 음성 종양의 분자적 프로파일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ER양성 유방암과 음성 유방암이 별개의 질환이라는 , 설득력 있는 증거일 수 있다. 

 

 

유방암에 적어도 네 가지의 분자적 아형 luminal A and B , HER2-enriched, basal-like 그리고 normal breast-like형 이 존재한다. 

 

이러한 아형의 구분은 RNA 수준에서 ER 및 ER관련 유전자의 발현, 증식 관련 유전자 , 그리고 좁은 범위에서 HER2 및 HER2 증폭 부위에 대한 유전자 지도 등에 의해 구분된다. 

 

 

ER 양성 유방암 환자들을 양호한 예후의 환자군으로 세분화하기 위한 MammaPrint®, Recurrence Score, 그리고 Genomic Grade Index 와 같은 인증들이 개발되었고, 여러 인증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불량한 예후르 보이는 고도의 증식능을 가진 ER양성 유방암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ER음성 유방암과 대부분의 고등급ER-양성 유방암들이 이러한 방법에 따라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재발 위험도가 낮은 저위험군에 속하여 항암화학요법의 이득이 적을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군은 화학요법을 배제함으로써 독성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예후 평가르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새로운 분자적 지표로부터 도출된 예후 정보와 전통적인 임상병리적 지표로부터 예후 정보를 통합하여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 및 결론 

 

 

ER양성인 유방암 환자의 5년 재발률은 ER 음성인 환자보다 5~10% 정도 낮아 예후인자로 인정할 수 있으나, 예후인자적 가치는 추적관찰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궁극적으로는 소실된다. 

 

즉 ER발현은 종양의 성장속도가 느리다는 지표이며 호르몬요법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서의 가치가 더 크고 분명하다. 

 

 

모든 유방암조직에서 ER, PR의 발현 정도르 측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측정 방법의 표준화와 정규적인 질적 감시가 필요하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유방암의 발생과 진행에 관련되어 있고 그 수용체인 ER과 PR의 전사 활동성 및 다른 신호전달계와 상호 작용에 따라 유방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도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부분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