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 낭종의 처치 2022-02-15

https://blog.naver.com/gogngs/222648191459 

 

낭종은 말단 유관소엽단위 에서 기원한다

구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가지며 액체로 채워져 있다.

폐경전후 기간 동안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월경 주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보통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내부의 상피층과 외부의 근상피츠으로 이루어져 있다.

낭종은 촉지되지 않는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5~6 cm 에 이르는 큰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약 50% 는 다발성으로 존재한다.

흡인하거나 초음파 검사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시 초음파 탐색자를 눌러서 모양이 납작해지면 낭종임을 알 수 있으며 ,

무혈관, 무에코, 감지할수 없는 벽을 가지는 단순 낭종과 고형성분을 가지거나 , 내부 에코, 액 -부스러기층 , 고르지 못한 경계, 격막 등을 가지는 복합 낭종으로 구분된다.

복합 낭종은 악성의 가능성이 0.3% 정도이나, 의미 있는 고형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악성의 가능성이 23% 까지 증가하며, 복합 낭종은 일반적으로 흡인이 필요하다.

단순 낭종은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흡인은 필요하지 않다.

흡인 시에 21G 바늘과 10~20mL 주사기로 종물을 찔러 흡인한다.

전형적인 양성 낭액은 녹색, 노란색, 또는 갈색으로 나타나며 , 세포진단은 필요치 않다.

만약 낭액에 혈액이 포함하고 있으면 드물지만 낭종내암종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세포검사로 확인한다.

단순 낭종은 20% 미만에서 재발할 수 있으며, 약 9% 미만에서는 반복해서 흡인해도 재발할 수 있다.

낭종은 비교적 간단하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지만 추적관찰을 요한다.

바늘 흡인 후 낭종이 완전히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고 , 약 4~6 주 후에 재진한다.

만약 재발하거나 고형성분이 있다면 외과적 절제가 필요하다.

증상을 유발하는 낭종을 가진 환자들을 제외하고 대부분 정기적인 추적관찰은 필요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