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기능 저하증 임상증상 2 - 1 2019-10-29

https://blog.naver.com/gogngs/221692158484

 

 

 

2. 심맥관계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심맥관계 증상은 중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상당 기간 지속될때 나타난다.

처음에 나타나는 심장 증상으로는 운동중 호흡곤란 , 피로 , 운동에 대한 적응력 감소 등이 있다.

더 심해지면 심낭 삼출액 과 울혈성 심부전이 나타난다.

가. 이학적 소견

맥박은 느리고 약하다

고혈압이 나타난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의 20~40% 에서 관찰된다)

  - 주로 확장기 고혈압이며 맥압이 감소한다.

  - 말초 혈관 저항의 증가 , 동맥벽의 점액 수종으로 인한 동맥경직으 증가 때문에 발생한다.

  - 통상적인 고혈압 치료에 잘 반응을 하지 않고 갑상선 호르몬 투여로 급속히 호전된다.

오래된 중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는 저혈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심음은  멀고 약하게 들리며, 심확장 혹은 심낭 삼출액 때문에 타진시 심장비대를 알 수 있다.

심한 경우 복수와 흉막 삼출액이 나타날 수도 있다.

나. 혈역학적 변화

일회 박출량의 감소와 순환시간의 지연에 따른 저 박출 상태와 말초혈관저항의 증가이다.

말초혈관저항의 증가는 후부하를 높여 심박출량을 감소시키고 순환시간을 지연시키며 고혈압을 유도한다.

심박출량이 30~50%  감소하지만 실제 심부전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이유는 심장의 산소 소모량 감소가 더 현저해져 심박출량 감소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매우 심한 경우에는 기존의 심질환 없는 사람도 확장기 이완이 지연, 수축기 수축 속도의 지연을 초래하므로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운동 부하에 대한 혈역학적 반응은 정상이며, 폐동맥압도 정상이고 , 폐울혈은 나타나지 않는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에서 심기능 변화의 특징

- 운동부하에 대한 반응이 정상

- 갑상선 호르몬에는 반응하나 디지탈리스나 이뇨제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 폐울혈이 없다

- 높은 단백 농도의 폐 및 심낭삼출액이 동반된다.

다. 심전도 , 흉부 방사선 소견

심전도 소견

- 서맥

- 저전압

- T파가 평평해지거나 T파 역전

- PR 간격의 연장,

- QT 간격의 지연 ,

- QRS 가 넓어지는 소견

%심전도 변화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면 대개 정상으로 환원된다.

흉부 X-ray

- 심비대 ( 심장 전체가 커진 모양) : 심낭 삼출액 때문으로 생각된다.

라. 심낭삼출액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심맥관계 변화에서 가장 흔한 소견 중  하나로서 치료 하지 않은 환자의 30% 이상에서 관찰된다.

삼출액은 단백 농도가 높은데 , 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에 기인한다.

심낭 삼출액은 아주 서서히 고이므로 혈역학적 변화는 경미하다.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하면 2~12개월에 걸쳐 서서히 소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