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과 면역반응-림프절 2023-02-18

https://blog.naver.com/gogngs/223019699016 

 

 

유방암과 관련된 항원의 면역 인식과 생존 연장과의 관계에 대한 첫번째 가설은 액와 림프절의 증식반응에 대한 조직관찰을 통한 것이다.

림프구 침윤, 림프굴조직구증 같은 형태적 특징은 생존 , 치료와 연관되어 있고 세포성 면역반응을 대변한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액와림프절 내 면역글로블린 동종이형중 sIgM양성 림프구가 높은 증가를 보였고, 말초 림프구에 비해 림프절 림프구가 종양세포에 대한 반응이 증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유방암 환자의 I기와 II기 사이에 림프구아형에 차이가 있으며 II기 환자의 림프절에서 Th세포의 수가 증가되어 있다.

유방암 환자의 림프절구는 종양항원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IL-2와 자가종양세포로 자극했을 때 대상 환자의 31%정도에서 증식했고,

유방암 환자의 말초혈액림프구를 자가종양세포로 자극했을 때도 cytokine 이 생산됨이 보고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