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2 2021-01-08

https://blog.naver.com/gogngs/222200813090

 

 

 

2. 출산 후 면역 변화

1) T 세포

임신 중에 나타난 면역 변화는 출산 12 개월 이내에 정상으로 회복된다.

순환 중인 T세포 총수는 임신 및 출산 후 모두 변화가 없다.

CD4+/CD8+ T세포 비는 출산후 6개월까지 감소되어 있다.

Th1/Th2 비는 임신 중에 감소하며, 출산 초기 (1~3일) 까지 감소된 상태로 지속한다.

태아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임신 중에  활성화된 T세포들이 증가하는데 , 출산 1주일 이후에는 정상으로 환원된다.

자연살해 세포도 임신 중에 증가하고 출산 초기까지는 지속된다.

2) B 세포

임신 중에 자가 항체는 감소하지만 순환 중인 B 세포총수는 변화가 없다.

감소한 자가 항체는 출산 후에 서서히 환원된다.

3.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1)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임신 중에는 국소적 및 전신적인 면역억제 현상에 의해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의 활성이 약화된다 .

이러한 현상은 그레이브스병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데 , 임신 중에 그레이브스병은 그 활성이 약화되면서 관해에 들어가고 , Tg , TPO , 및 TSH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들의 역가도 감소한다.

그러나 출산 후에는 기존의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이 악화되며, 특히 산후 갑상선염의 발병률이 증가한다.

2) 갑상선 자가면역과 유산

갑상선 자가항체와 유산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인과 관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