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중심침생검 병리보고서 2022-01-25

https://blog.naver.com/gogngs/222630999323 

 

중심침생검 검체에 대한 최종 병리 보고서는 치료 방향 결정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생검조직진단시 과잉 진단을 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미세 침윤이나 림프관 침범 등은 소견이 뚜렷한 때에만 진단하도록 하며

경계성 병소를 과잉진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침생검에서 관내유두종과 유두암종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유두상 종양으로 진단하며 확진 및 치료를 위한 완전절제를 권고하도록 한다.

비정형관상피증식 진단 정의에는 비정형세포 증식 범위를 확인하는 양적 기준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침생검 검체에서 비정형관증식증으로 진단되었더라도 최종 절제조직에서 관상피네암종으로 진단이 상향될 가능성이 있다.

중심침생검 검체의 판독 시에는 임상적 영상의학적 연관성을 주의깊게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생검의 이유가 석회화나 종괴형성일 경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석회화나 종괴에 해당하는 병소가 중심침생검 검체에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며 모든 불일치 소견은 보고서에 기술하는 것이 권장된다.

침윤암의 경우 조직학적 유형과 더불어 침생검 조직표본에서 가장 길게 관찰되는 침윤암의 크기와 잠정적 조직학적 등급을 기술하도록 한다.

관상피내암종의 경우, 병리보고서에 관상피내암종의 구조적 유형 , 핵등급, 괴사 및 석회화 유무를 기술한다.

다형성 소엽상피내암종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상피내암종에 준하여 치료하므로 , 소엽상피내암종에서 고등급의 핵등급 , 중심성(면포)괴사, 미세석회화 같은 비정형성이 관찰되는 경우 반드시 보고서에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