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아미오다론 -유발 갑상선질환 1. 2021-03-12

https://blog.naver.com/gogngs/222272964269

 

 

 

아미오다론(amiodarone)은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제로 심실 부정맥 , 발작성 심실상성 빈백(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 ,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 치료제로 널리 사용된다.

아미오다론은 갑상선 기능 장애를 유발 할  뿐만 아니라 직접 갑상선기능항진증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유발한다.

1. 아미오다론의 약리

아미오다론은 bezofuranic 유도체

화학적 구조가 T4 와 비슷하다.

아미오다론은 요오드를 포함하는데 분자량의 약 37% 를 차지 한다.

하루에 아미오다론의 약 10% 가 탈요오드 되기 때문에 1일 200~600 mg 을 복용할 경우 매일 7~21mg 의 요오드가 혈액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아미오다론을 복요하는 환자는 일상적인 요오드 섭취량 ( 150~200 ug )의 50~100 배의 요오드를 섭취하게 된다.

아미오다론은 지방조직, 간 , 폐, 신, 갑상선, 심장, 뇌 등 여러 조직에 분포하며 , 조직으로부터 아주 서서히 방출된다.

따라서 투약을 중단해도 오래 동안 효과가 지속되며 , 혈중 반감기는 아미오다론은 평균 100일 , 대사물인 desethylamiodarone 은 평균 57일로 매우 길다.

약 65~75% 가 담즙 및 대변으로 배설된다.

2. 아미오다론이 정상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1) T4 , T3 , 및 rT3

아미오다론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요오드는 갑상선에서 T4 와 T3 의 생산과 방출을 억제하는데 (Wolff-Chaikoff 효과) , 이러한 효과는 첫 2주 이내에 소실되기 때문에 아미오다론을 게속 투여해도 갑상선의 T4 , T3 생산 능력은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아미오다론은 말초조직 특히 간에서 T4 의 T3전환을 촉매하는 5-탈요오드효소 D1(D2 억제는 상대적으로 약함)을 억제하므로 T3 생산 감소, T4 증가 및 rT3의 분해 감소를 초래한다. 이러한 효과는 아미오다론을 중단한 후에도 수개월 동안 지속된다.

아미오다론은 T4 의 조직 안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두 가지 기전에 의해서 혈청 T4 가 증가하는데, 치료 시작 1~4 개월 후에는 치료 전보다 약 40% 이상 증가한다.

아미오다론 투여 중인 환자의 약 40% 에서 혈청 T4 가 정상 보다 증가하는데 이것은 갑상선기능 항진증을 의미하지느 않는다.

혈청 T3  감소와 더불어 rT3증가가 나타나는데 , 일반적으로 T3 감소보다  rT3증가가 더 현저하다.

아미오다론은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에는 영향이 없다.

2) TSH

아미오다론 투여는 용량과 기간에 따라서 혈청 TSH 의 변화를 초래한다.

1일 200~400mg 투여하면 혈청 TSH는 대부분 정상으로 유지된다.

고용량을 투여하면 처음에 증가하다가 ( 그러나 20uU/ml 이상 증가는 드물다) 1~3 개월 후에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거나 또는 정상 이하로 감소한다.

투여 초기의 TSH 상승은 T4의 T3 전환 장애 때문으로 생각되며  수주 후 T3  생산 감소가 극복될 정도로 혈청 T4 가 증가하면 혈청 TSH 치는 점차 감소한다.

3) 아미오다론의 갑상선 세포독성

아미오다론과 그 대사물은 갑상선에 대해 직접적인 세포독성이 있다.

아미오다론 200 umol/l의 농도에서 갑상선세포의 50% 가 죽는다.

4) 아미오다론이 갑상선 자가면역에 미치는 영향

요오드가 사람이나 동물에서 갑상선 자가면역을 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미오다론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요오드가 갑상선 자가면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아미오다론은 특정 림프구의 증가를 유도하여 자가면역 소인이 있는 개체에서 갑상선 자가면역을 촉진 또는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아미오다론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이 아미오다론 투여 전부터 갑상선 자가항체가 양성이었던 환자에서 잘 발생하는 사실과 일치한다.

5) 아미오다론과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아미오다론은 조직 수준에서 갑상선기능저하와 비슷한 상태를 초래한다. 이는 부분적으로 카테콜아민 수용체 수의 감소 및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대한 T3 효과의 감소에 기인한다.

아미오다론은 T3 -반응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는데 간에서는 저밀도 저단백 유전자를 ,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전사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아미오다론의 억제 효과는 아미오다론에 의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하향 조절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