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미세선증 2021-10-26

https://blog.naver.com/gogngs/222549092712 

 

 

미세선증은 작고 일정한 크기의 선들이 소엽중심성분포를 하지 않고 유방 간질과 지방조직에 미만성, 침윤성 증식을 하는 비교적 드문 양성병변이다.

미세선증은 대개 경계가 불분명한 종괴로 나타나고 유방촬영술에서 미세석회화 또는 음영으로 나타나거나, 현미경소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한 층의 상피세포로 둘러싸인 선구조는 둥근 모양으로 근상피세포층이 없다.

호산성의 분비물이 내강에서 흔히 관찰되고 미세석회화를 동반하기도 한다.

상피세포는 입방형이거나 편평하고 , 핵은 둥글고 핵소체는 불분명하다.

원주세포병변에서 보이는 세포질 돌출은 관찰되지 않는다.

미세선증은 침윤성 성장 양상으로 보이고 근상피세포층이 없다는 점 때문에 관상암종과 같은 저등급 침윤성 암종으로 오인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선증의 경우 선구조가 둥글고 기저막을 가지고 있으며(laminin 이나 collagen type IV에 대한 면역염색 양성) ER에 대한 면역염색에 음성, S-100 단백에 대한 면역염색에 양성을 나타내는 점으로 감별이 가능하다.

관상암종은 선 구조가 각이 진 모양으로 잘 나타나고 기저막이 없으며, ER 에 강양성 , S-100단백에 음성을 나타낸다.

미세선증에서 비정형 미세선증이나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기도 한다.

비정형 미세선증은 구조적 복잡성과 세포학적 비정형을 보이는 경우로 선이 커지고 모양이 불규칙해지며 서로 조밀하게 배열하여 인접 선끼리 들러붙기도 한다. 세포의 증식으로 핵이 중첩되고 내강에 다리나 체모양 구조를 만들거나 심하면 내강이 막힐 수도 있다.

세포는 커지고 핵은 과염색질이며 다형성이 관찰된다.

상피내암종으로 진행하면 바닥세포모양 (basaloid ) 종양세포들의 증식에 의해 내강은 완전히 막히고 크고 팽창된 충실형 군집들이 나타난다.

침윤성 암종과의 구별은 상피내암종일 경우 이러한 군집들이 기저막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다.

미세선증에서 발생하는 침윤성 암종에는 일반형 (invasive carcinoma , no special type) 외에 특수형으로 선양낭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바닥세포모양암종(basalooid carcinoma), 화생암종(metaplastic carcinoma)등이 있다.

치료는 음성 절제연을 확보한 외과적 적출이며 병변이 광범위 할때는 완전 절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최근 분자유전학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존하는 미세선증, 비정형 미세선증, 그리고 침윤성 암종에서 동일한 유전적 변이와 클론 연관성으로 보여 , 미세선증이 양성 증식성 병변이라기보다 바닥세포모양형 또는 삼중음성 유방암의 전구병변이며 , 임상 처치 방버에도 수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